대기업, 자사주 처분 2년 새 3.3배↑…작년 소각·직원보상에 3.5조 썼다

시간 입력 2022-01-12 07:00:01 시간 수정 2022-01-18 08:56:58
  • 페이스북
  • 트위치
  • 카카오
  • 링크복사

2019년 1조3581억서 작년 4조5118억으로…2021년 SK텔레콤·네이버·SK하이닉스 ‘톱3’
‘주식소각’·‘보상’ 목적 처분 3배 이상 ‘껑충’…주주가치 제고와 인재확보 위한 용도로 활용
취득 규모는 2020년 반짝 상승 후 재차 하락…현대차, 3년 연속 3000억원 이상 취득
CEO스코어, 2019~2021년 500대 기업 상장사 자사주 취득·처분 현황 조사

지난해 국내 상장사의 자사주 처분 규모가 4조5000억원을 넘어 2년 새 3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주주가치 제고를 위한 ‘주식소각’과 임직원 보상을 위한 ‘보상’ 목적의 자사주 처분이 큰 폭으로 증가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등으로 인한 불확실한 경영환경 속에서도 기업들이 환경·사회·지배구조(ESG) 경영을 강화하기 위해 주주와 임직원 챙기기에 적극 나선 것으로 분석된다.

반면 자사주 취득 규모는 2020년 코로나19로 하락한 주가를 부양하기 위해 기업들이 자사주 취득에 나선 여파로 2019년 대비 30% 가량 증가했다가 주가가 회복되면서 감소로 돌아섰다.

기업별로 보면 지난해 자사주 처분 규모는 SK텔레콤, 네이버, SK하이닉스, 이마트, 아모레퍼시픽 순으로 컸다. 같은 기간 취득 규모는 현대모비스와 KT&G, 미래에셋생명, 현대자동차, 메리츠화재 순으로 많았다.

12일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대표 김경준)가 국내 500대기업 상장사 중 자사주 취득·처분 현황을 공시한 129개 기업을 대상으로 2019년부터 지난해까지 자사주 취득·처분 현황을 조사한 결과, 최근 3년 간 이들 기업의 자사주 취득 규모는 총 11조7794억원, 처분 규모(소각 포함)는 총 9조9485억원으로 집계됐다.

연도별 자사주 취득 규모는 2019년 3조6664억원에서 2020년 4조7699억원까지 증가했지만 지난해 3조3431억원으로 떨어졌다. 코로나19 여파로 주가가 하락하자 기업들이 주가 부양을 위해 자사주 취득에 나서며 2020년 취득 규모가 증가했지만, 이후 주가가 다시 회복되면서 감소한 것으로 분석된다.

지난해 취득 규모가 가장 컸던 곳은 현대모비스로 4286억원이었다. 이어 KT&G(3483억원), 미래에셋생명(3142억원), 현대자동차(3053억원), 메리츠화재(2632억원), 메리츠증권(2528억원) 순이었다. 최근 3년 기준으로는 자사주를 매년 3000억원 이상 취득해 온 현대자동차가 총 1조662억원으로 가장 컸고, 포스코(1조원), 현대모비스(9859억원), SK(9059억원), 신한지주(5941억원)가 뒤를 이었다.

반면 처분 규모는 2019년 1조3581억원에서 2020년 4조786억원, 지난해 4조5118억원으로 2년 새 232.2%(3조1536억원) 확대됐다.

지난해 자사주 처분 규모는 SK텔레콤이 2조1522억원으로 가장 컸다. SK텔레콤은 지난해 5월 ‘주주 가치 극대화’를 이유로 자사주 869만주 소각을 결정했다. 일반적으로 기업의 자사주 소각은 유통 주식수를 줄여 주주들이 보유한 기존 주식의 가치가 상승하는 등 주가에 호재로 작용한다.

이어 네이버(7244억원), SK하이닉스(4885억원), 이마트(1500억원), 아모레퍼시픽(1439억원)도 지난해 자사주 처분 상위 기업으로 집계됐다.

최근 3년 기준으로도 SK텔레콤이 2조4522억원으로 처분 규모가 가장 컸다. 네이버(1조4225억원), 신한지주(7519억원), LG화학(6538억원), SK하이닉스(4885억원)는 2~5위에 이름을 올렸다.

자사주 처분 규모가 최근 2년 새 크게 상승한 것은 기업들이 ESG 경영의 일환으로 주주가치 제고와 임직원 대상 보상에 적극 나선 영향이다.

자사주 처분 규모를 목적별로 보면 ‘주식소각’ 목적의 처분 규모는 2019년 8460억원에서 2020년 1조641억원, 지난해 2조3517억원으로 2년 새 3배 가까이 늘었다.

대규모 주식 소각을 진행한 SK텔레콤의 지난해 처분 규모가 1조9660억원으로 가장 컸고, 현대모비스(1119억원), 네이버(869억원), 미래에셋증권(823억원), 금호석유화학(315억원) 순이었다. 최근 3년 기준으로도 SK텔레콤 주식소각 규모가 1조9660억원으로 가장 컸고 현대모비스(4260억원), 두산중공업(4158억원), 삼성물산(3139억원), 기업은행(2242억원)이 뒤를 이었다.

직원들에 대한 ‘보상’을 목적으로 한 처분 규모도 2019년 1552억원, 2020년 2467억원 수준에서 지난해 1조1016억원으로 2년 새 609%(9464억원) 증가했다.

지난해 SK하이닉스(4885억원), SK텔레콤(1862억원), SK이노베이션(1121억원) 등 SK그룹 계열사와 현대자동차(650억원), 기아(371억원), 현대모비스(102억원) 등 현대자동차그룹 계열사의 임직원에 대한 자사주 지급·처분 영향이 크게 반영됐다.

이밖에 ‘사업제휴’를 위한 자사주 처분 규모는 6002억원, ‘인수합병대가’는 3320억원, ‘교환청구’는 589억원, ‘재원확보’는 475억원으로 각각 집계됐다.

[CEO스코어데일리 / 유영준 기자 / yjyoo@ceoscore.co.kr]

관련기사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