혁신의 아이콘 현대카드, 새 주주 맞아 ‘금융테크’ 속도 전망

시간 입력 2022-05-27 07:00:06 시간 수정 2022-06-02 17:42:51
  • 페이스북
  • 트위치
  • 카카오
  • 링크복사

[창간 10주년 연중기획] 한국 경제 주역, 500대 기업 심층분석/(168) 현대카드
10년간 누적 영업수익 26조원…2019년부터 매년 증가세
PLCC 시장 절대강자…회원 수 1000만명 돌파
양적 성장·질적 이동으로 ‘금융테크’ 기업 발돋움

현대카드는 2001년 현대자동차그룹 계열사에 편입된 이후 카드업계 혁신을 선도해왔다. 라이프스타일에 중점을 둔 광고와 슈퍼콘서트로 대표되는 ‘문화 마케팅’으로 고객 눈길을 사로잡았고, 상업자 표시 신용카드(PLCC)와 세로카드를 연달아 출시하며 시장 영향력을 확대했다.

현대카드는 올해 ‘양적 성장’과 ‘질적 이동’을 경영 키워드로 데이터 사이언스 기반 금융테크 기업의 입지를 확고히 한다는 계획이다. 특히 최근 주요 주주가 사모펀드 운용사 ‘어피너티에쿼티파트너스’에서 대만 푸본금융그룹으로 변경된 만큼, 현대카드의 신사업 전개가 탄력을 받을지에 금융권 관심이 집중된다.

◇지난해 순이익 3000억원…수익성 개선 및 포트폴리오 재구성

현대카드는 2012년부터 지난해까지 총 26조2304억원의 매출(영업수익)을 거뒀다. 연간 매출액은 2012년부터 2017년까지 매년 성장하다 2018년 급격히 줄었는데, 정부의 영세·중소가맹점 범위 확대와 법정 최고금리 인하 등으로 수익성이 악화한 영향이다.

이후 현대카드는 PLCC 상품을 연달아 출시하며 신용카드 회원 수를 불리는 데 주력했다. 코스트코부터 GS칼텍스, 대한항공, 네이버, 넥슨 등 협업 업종도 다양하다. 그 결과 회사의 매출액은 2019년부터 지난해까지 증가세를 이어오고 있다.

회사의 연도별 매출은 △2012년 2조5256억원 △2013년 2조5275억원 △2014년 2조6180억원 △2015년 2조6529억원 △2016년 2조7542억원 △2017년 3조208억원 △2018년 2조4896억원 △2019년 2조3708억원 △2020년 2조5261억원 △2021년 2조7449억원이다.

연간 당기순이익은 몇 년간 2000억원 안팎을 이어오다 지난해 3000억원을 넘어섰다. PLCC 라인업 강화와 회원 수 1000만명 돌파 등으로 수익성을 개선했고, 채권관리를 통해 우량자산 중심의 자산 포트폴리오를 구축한 영향이다.

연도별 순이익은 △2012년 1913억원 △2013년 1632억원 △2014년 2235억원 △2015년 1868억원 △2016년 1900억원 △2017년 1916억원 △2018년 1498억원 △2019년 1676억원 △2020년 2446억원 △2021년 3141억원이다.

◇총자산 20조원 돌파…임직원 수도 크게 늘어

현대카드의 총자산은 10년 새 10조원 이상 증가했다. 연도별로 보면 △2012년 11조2506억원 △2013년 11조5206억원 △2014년 12조3871억원 △2015년 13조3107억원 △2016년 14조5155억원 △2017년 15조4135억원 △2018년 15조9438억원 △2019년 17조4084억원 △2020년 19조9284억원 △2021년 21조5978억원이다.

회사의 무형자산은 △2012년 537억원 △2013년 1270억원 △2014년 1337억원 △2015년 1371억원 △2016년 1245억원 △2017년 1225억원 △2018년 1005억원 △2019년 973억원 △2020년 1134억원 △2021년 1233억원을 기록했다.

이 가운데 개발비는 △2012년 458억원 △2013년 1013억원 △2014년 1099억원 △2015년 909억원 △2016년 836억원 △2017년 841억원 △2018년 658억원 △2019년 519억원 △2020년 609억원 △2021년 662억원으로 집계됐다.

임직원 수는 10년 전보다 크게 늘었다. 연도별 임직원 수는 △2012년 1353명 △2013년 1410명 △2014년 1490명 △2015년 1567명 △2016년 1567명 △2017년 1763명 △2018년 1952명 △2019년 1852명 △2020년 1899명 △2021년 2031명이다.

한때 100곳이 넘던 영업점포는 지난해 32곳으로 줄었다. 코로나19 사태 이후 금융의 비대면화가 가속하면서 오프라인 영업 비용을 줄이려는 조치로 풀이된다.

현대카드의 연도별 국내 영업점포 수는 △2012년 8곳 △2014년 102곳 △2015년 101곳 △2016년 86곳 △2017년 107곳 △2018년 58곳 △2019년 53곳 △2020년 32곳 △2021년 32곳이다. 국외 영업점포의 경우 2020년 개소한 도쿄 지점 1곳을 운영 중이다.

◇금융테크로의 질적 이동 목표…PLCC 최초 행보도 주목

정태영 부회장은 2013년부터 현대카드의 정체성을 데이터 전문기업으로 탈바꿈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올해 역시 데이터 사업과 디지털 경쟁력 강화에 주력해 ‘금융테크’ 기업으로 발돋움한다는 목표다.

이를 위해 현대카드는 지난해 말 빅데이터 분석 소프트웨어 판매 관련 부수업무를 금융감독원에 신고해 사업 기반을 마련했고, PLCC 파트너사 간 데이터 동맹인 ‘도메인 갤럭시’ 활성화에도 집중하고 있다.

최근에는 상시 재택근무 제도를 도입하고 전 직원에 ‘디지털 코인(D코인)’을 지급키로 하는 등 유연한 디지털 근무환경 조성에도 나섰다. 직원들은 D코인을 활용해 제휴 임직원몰에서 무선키보드·마우스, 재택용 모니터 등 IT 장비를 구매할 수 있다.

현대카드 관계자는 “올해 오롯한 금융테크로의 질적 이동이라는 목표를 내걸고 다양한 시도를 해 나갈 계획”이라며 “이번에 추진하는 일하는 방식과 환경의 근본적인 변화는 그 출발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또 PLCC 출시에도 주력해 가입자 수와 매출 증가세를 이어간다는 방침이다.

현대카드는 지난 23일 미래에셋증권과 PLCC 상품 출시 및 운영에 관한 파트너십 계약을 체결했다. 국내에서 증권사 PLCC를 출시하는 사례는 이번이 처음이다.

올해 하반기 출시 예정인 미래에셋증권 PLCC에는 사용 실적에 따라 주식을 제공하는 등 투자에 관한 다양한 혜택이 담길 예정이다. 특히 현대카드의 인공지능(AI) 기반 데이터 사이언스 역량을 활용해 고객 맞춤형 상품과 서비스 개발에도 협업한다는 계획이다.

한편 현대카드는 최근 재무적 투자자(FI)였던 어피너티 대신 푸본그룹이 주요 주주로 등극하면서 기업공개(IPO) 부담을 덜게 됐다. 오랜 기간 협력 관계를 이어온 푸본그룹의 경영 참여로 현대카드의 신사업 추진이 탄력을 받을 지 주목된다.

정 부회장은 “올해 키워드는 양적 성장과 질적 이동”이라며 “빠른 리듬, 수시 조직 변경 등 기동전으로 변화를 주도하고 데이터 사이언스 기반의 금융 테크 기업으로 입지를 확고히 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CEO스코어데일리 / 김기율 기자 / hkps099@ceoscore.co.kr]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