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담대 만기 40년에 고정금리까지, 소비자 유불리는?

시간 입력 2022-05-24 17:43:18 시간 수정 2022-05-24 17:43:19
  • 페이스북
  • 트위치
  • 카카오
  • 링크복사

시중은행 잇따라 만기 연장…10년 장기고정주택담보대출도 출시
금리인상기, 고정금리 유리하지만 수수료 부담 등 변수 따져봐야

“현재 살고 있는 집을 처분하고 다른 집을 매수할 생각인데 주택담보대출 만기 40년 상품을 선택하는 게 이득일까요?”

“금리가 계속 오르고 있는데 주담대 변동금리형과 고정금리형 중 어느 상품이 유리한지 궁금합니다”

시중은행들이 40년 만기 주택담보대출 상품을 잇달아 출시한 데 이어 고정금리(혼합형) 상품까지 등장하자 온라인에서는 관련 문의가 쇄도하는 등  수요자들의 셈법도 복잡해졌다. 만기가 연장되면 대출 한도가 상향돼는 효과를 볼 수 있지만 금리인상기에 부담해야 할 이자 비용이 늘어날 수 있어 상황별 신중한 선택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24일 금융권에 따르면 IBK기업은행은 대출기간 최대 40년, 고정금리 기간을 5년과 10년 중 선택할 수 있는 ‘IBK장기고정주택담보대출’ 상품을 출시했다. 기업은행은 시중 은행 중 최초로 40년 만기 주담대 상품 중에 고정금리(혼합형)을 적용했다.

시중은행 줄줄이 주담대 만기 연장…DSR 규제 우회로 대출 한도 늘어나

앞서 지난달 21일 하나은행이 주택담보대출 만기를 기존 35년에서 최장 40년으로 늘리면서 시중은행들이 줄줄이 만기 연장에 나섰다. 이후 KB국민은행·신한은행·우리은행NH농협은행 등 국내 주요 시중은행도 40년 만기 주담대를 시장에 선뵀다.

40년 만기 주담대의 경우 정부가 지난해 7월 만 39세 이하 청년이나 혼인 7년 이내 신혼부부를 대상으로 내놓은 정책금융상품에 한정됐지만 올해 들어 시중은행이 모든 고객을 대상으로 판매하고 있다.

장기 주담대의 가장 큰 장점은 총부채원리상환비율(DSR) 규제로 대출 한도가 제한된 상황에서 대출을 더 확대할 수 있다는 점이다. DSR는 개인이 받은 모든 대출의 연간 원리금을 연소득으로 나눈 비율로 오는 7월 개인별 DSR 강화 조치가 실행될 예정이다. 규제가 시행되면 총 대출 1억원이 넘는 차주는 한 해 갚아야 할 상환금과 이자의 합산액이 연 소득 40%를 초과할 경우 추가 대출을 받을 수 없다.

대출 만기가 길어지면 상황은 달라진다. 매달 갚아야 할 원리금 상환액이 줄면서 대출 한도가 자연스럽게 늘어나는 효과를 볼 수 있는 이유에서다.

가령 연소득 5000만원인 직장인 A씨가 서울에서 10억원의 집을 산다고 가정했을 때 금리 4.5%에 35년 만기 원리금균등상환방식으로 돈을 빌린다면 DSR 40% 규제로 은행에서 빌릴 수 있는 최대한도는 3억5000만원이다. 여기서 만기 40년을 적용하면 3억6900만원으로 늘어난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소득 상황이나 기존 대출 여부에 따라 상황이 달라질 수 있지만 만기 연장에 따라 원리금이 줄어드는 효과로 수요자 입장에서는 좋은 점이 크다”고 말했다.

◇ 금리 변수로 만기 연장에 따라 이자 늘어나…대출 한도·금리 등 유불리 따져야

주의할 점은 금리 변수다. 한국은행이 연내 기준금리 추가 인상을 예고한 만큼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오르면 그만큼 내야 하는 이자 총액도 커지기 때문에 만기 연장 효과가 떨어질 수밖에 없다. 은행연합회에 따르면 변동금리의 기준이 되는 코픽스 금리(신규취급액 기준)는 기준금리 인상에 따라 지난 1월 1.64%에서 4월 1.84%로 가파르게 상승하고 있다. 

이에 따라 시중은행의 분활상환방식 주택담보대출의 평균 금리는 3.61~4.31%로 지난달(3.50~4.32%)보다 최저 0.11%포인트에서 최대 0.01%포인트 상승했다.

금리 인상이 예고된 시기에 신규 대출자의 경우 고정금리형 주담대가 유리하다는 분석이 나온다. 본격적인 금리 상승기에 6개월마다 금리가 인상되는 변동금리형보다 5년 혹은 10년간 금리가 고정된 혼합형 상품이 나을 수 있다는 것이다.

익명을 요구한 은행권 관계자는 “고정금리형 상품이 변동금리형보다 금리가 더 높지만 현재처럼 금리 인상기에 장기적인 관점으로 보면 고정금리가 더 유리할 수 있다”고 말했다.

다만, 현재 3%대 초반 변동금리를 적용받고 있는 경우 금리와 함께 중도상환수수료 등 기회비용을 따져봐야 한다. 주담대는 3년 약정 기간이 지나기 전에 대환대출을 시행할 경우 최대 1.5% 수수료를 부담해야 한다. 고정금리형으로 갈아탈 경우 신용이 좋더라도 금리가 오를 수 있어 상황을 지켜보는 게 더 유리할 수 있다.

[CEO스코어데일리 / 안은정 기자 / bonjour@ceoscore.co.kr]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