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퍼스캔스, 6년간 인기 K웹툰 불법 유통…월 평균 1000만회 방문
카카오엔터, 운영자 3인 신원 특정 후 법적 조치 경고
자체 ‘운영자 특정 기술’로 단순 차단 아닌 ‘완전 폐쇄’ 성과

리퍼스캔스 웹사이트 화면(왼쪽)과 리퍼스캔스 폐쇄 공지. <출처=카카오엔터테인먼트>
카카오엔터테인먼트가 자체 개발한 운영자 특정 기술을 통해 월평균 방문자 수 1000만 명에 달하는 영어권 대형 웹툰·웹소설 불법 유통 사이트 ‘리퍼스캔스(Reaper Scans)’를 완전히 폐쇄시키는 데 성공했다. 이는 단순 사이트 차단을 넘어 운영자를 직접 특정한 뒤 법적 조치를 예고해 재발을 막는 ‘완전 폐쇄’ 사례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카카오엔터는 14일 자사 불법유통대응팀 P.CoK(피콕)의 활약으로 지난 9일(한국시간) 리퍼스캔스가 영구 폐쇄됐다고 밝혔다. 2019년부터 약 6년간 운영된 리퍼스캔스는 인기 한국 웹툰과 웹소설을 중심으로 불법 번역물을 유통해온 악명 높은 사이트다. 월평균 방문자 수가 1000만 회에 달하고, 전문 불법 번역 그룹까지 운영하며 매우 양질의 번역물을 제공해 유저 충성도가 높았다. 이로 인해 다른 불법 사이트로의 2차 확산도 빈번했으며, 사이트 내 광고와 공식 후원 채널, 한때는 유료 판매까지 감행하며 수익을 챙겨왔다.
카카오엔터는 단순 경고나 사이트 차단이 도메인 변경을 통한 '임시 폐쇄'에 그칠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운영자 신원을 직접 특정해 법적 책임을 묻는 방식으로 대응해왔다. 리퍼스캔스의 경우에도 2022년부터 면밀한 조사와 데이터베이스 비교 분석 등을 통해 각각 미국, 인도, 크로아티아에 거주하는 운영자 3명의 신원을 특정하는 데 성공했다. 이후 이들의 실명과 함께 강력한 법적 조치 계획을 담은 경고 메일을 발송했다.
결국 리퍼스캔스 운영진은 지난 9일 웹사이트 공지를 통해 "카카오엔터에서 중단 요청을 받은 후 리퍼스캔스는 불법 번역본의 무단 배포를 전면 중단하고, 사이트를 영구적으로 종료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이번 리퍼스캔스 폐쇄는 카카오엔터의 운영자 특정 기술을 통한 '완전 폐쇄' 전략의 효과를 재확인한 사례다. 앞서 P.CoK은 동남아시아 최대 웹툰 불법 유통 사이트 '망가쿠(Mangaku)' 운영진의 신원을 특정, 이들이 페이스북을 통해 "(신원이 노출된 상황에서) 경찰에서 모니터링 중으로 용기가 나지 않는다"며 사이트 재개설 요청을 거부하도록 만들었다. 또한 지난 4월에는 월 방문 수 약 1억 회에 달하는 웹소설 불법 사이트 'N'으로부터 카카오엔터 작품 불법 유통 중단 선언을 이끌어낸 바 있다.
카카오엔터의 불법유통대응팀 P.CoK은 업계 최초로 설립된 전문 조직으로, 반기별 불법유통대응 백서를 발간해 업계 전반의 대응 역량 강화에도 기여하고 있다.
이호준 카카오엔터 법무실장은 “P.CoK의 활동은 카카오엔터 작품을 지키는 것을 넘어 불법 사이트 내 모든 한국 콘텐츠들을 함께 보호한다는 점에서 K콘텐츠 역량 제고에 큰 의미가 있다”며 “앞으로도 독자적인 수사 방법을 지속 고도화하고 실제 적용해 창작자 권리 보호에 힘쓰겠다”고 말했다.
[CEO스코어데일리 / 김동일 기자 / same91@ceoscore.co.kr]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