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프레드 축소·경비 절감·환율 등 수익성 개선
고부가 사업 확대 및 재무건전선 개선 활동 지속

롯데케미칼 여수공장 전경. <사진=롯데케미칼>
롯데케미칼이 직전 분기 대비 적자 폭을 1000억원 이상 줄인 것으로 나타났다. 롯데케미칼은 수익성을 제고하고 적자 탈출에 역할을 집중하겠다는 계획이다.
롯데케미칼은 연결 기준 매출액 4조9018억원, 영업손실 1266억원을 기록했다고 13일 밝혔다.
글로벌 석유화학 산업 불황이 장기화되면서 6개 분기 연속 적자를 기록했지만, 직전 분기 대비 적자 폭을 크게 개선했다.
롯데케미칼 관계자는 “전쟁 및 미국 관세 이슈 등 불확실성이 지속되는 상황에서도, 변화에 민첩하게 대응하며 수익성 제고에 집중하고 있다”고 말했다.
사업별로 살펴봤을 때, 기초화학(롯데케미칼 기초소재사업, LC 타이탄, LC USA, 롯데GS화학)은 매출액 3조3573억원, 영업손실 1077억원을 기록했다. 대산 공장 정전으로 일정 기간 가동 차질이 발생했으나, 스프레드 개선 및 경비 절감, 긍정적 환율 영향으로 적자가 축소됐다.
기초화학은 2분기에는 원료가 하향 안정화가 예상되며, 대산 공장 및 해외 자회사 정기 보수가 진행될 예정이다.
첨단소재는 매출액 1조1082억원, 영업이익 729억원을 기록했다. 원료가 안정화 및 수요 개선으로 스프레드가 확대됐고 운송비 감소 및 긍정적 환율 영향으로 실적이 개선됐다. 율촌 컴파운드 공장 등 사업경쟁력 지속 확보를 위한 투자를 차질 없이 진행할 계획이다.
롯데정밀화학은 매출액 4456억원, 영업이익 188억원을 기록했다. 주요 제품 판가 인상 및 판매량 확대, 환율 영향으로 실적이 개선됐다. 정기 보수가 예정되어 있는 2분기에는 재고 판매 확대를 추진할 계획이다.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는 매출액 1580억원, 영업손실 460억원을 기록했다. 전기차 시장 캐즘이 장기화되면서 고객사 재고 조정 영향으로 판매량이 감소하고, 가동률 조정에 따라 고정비 부담이 확대됐다. 전기차 수요 회복이 지연될 것으로 예상되나, 작년 말부터 이어진 재고 조정을 마무리해 가동률 반등에 따른 수익성 개선이 전망된다.
롯데케미칼 관계자는 “고부가 포트폴리오 확대 및 에셋라이트 전략 실행 등 재무건전성 개선 활동을 지속해 나갈 것이다”고 말했다.
[CEO스코어데일리 / 박대한 기자 / dayhan@ceoscore.co.kr]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