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공급망 재편…약 1조원 규모 투자
VCV 타워·전용 항만 등 생산기지 구축

글렌 영킨(Glenn Youngkin) 버지니아 주지사, 구본규 LS전선 대표, 릭 웨스트(Rick West) 체사피크 시장(오른쪽 5번째부터) 등 참석자들이 28일(현지시간) 버지니아주 체사피크(Chesapeake)시 LS그린링크 착공식에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LS전선>
LS전선이 트럼프 행정부 2기 출범 이후, 한국 기업 중 최초로 미국에서 대규모 공장 건설에 착수하며, 보호무역 강화 속에서도 글로벌 시장 공략을 본격화하고 있다.
LS전선은 29일 자회사 LS그린링크(LS GreenLink)가 버지니아주 체사피크(Chesapeake)시에 미국 최대 규모의 해저케이블 제조 공장을 착공했다고 밝혔다.
이번 투자는 총 6억8100만 달러(약 1조 원) 규모로, 트럼프 행정부 2기 이후 한국 기업의 첫 대형 현지 투자 사례다.
LS전선은 이번 투자를 통해 미국의 공급망 자립 전략에 선제 대응하고, 해저케이블 생산 인프라가 제한적인 미국 내 글로벌 에너지 인프라 전환을 이끄는 교두보를 마련할 계획이다.
공장은 엘리자베스강 유역 39만6700제곱미터(㎡, 약 12만 평) 부지에 들어서며, 연면적은 약 7만 제곱미터(㎡, 약 2만 평) 규모다.
LS전선은 이번 공장을 오는 2027년 3분기 완공해 2028년 1분기 양산 시작을 목표로 한다. 향후 글로벌 수요에 따라 설비 확장도 계획 중으로 알려져 있다.

LS그린링크 해저케이블 공장 조감도. <사진=LS전선>
생산 설비에는 201m 높이의 VCV 타워와 전용 항만시설 등이 포함된다. 이를 통해 HVDC(고압직류) 해저케이블의 생산부터 운송, 공급까지 원스톱으로 수행할 수 있는 세계 최고 수준의 인프라를 갖추게 된다.
특히 VCV 타워는 버지니아주 내 최고층 구조물이자, 필라델피아에서 샬럿 사이 동부 해안권에서 가장 높은 산업시설로 자리매김할 전망이다. 또 이번 공장 건설로 지역사회에는 330개 이상의 양질의 일자리가 창출될 것으로 기대된다.
김기수 LS그린링크 법인장은 “이미 유럽 수출용 18개월치 물량을 확보했다”며 “미국의 2024년 AI 데이터센터 전력 수요는 한국 연간 전력 수요(62GW)의 절반인 32GW에 달하며, 2030년에는 120GW로 세 배 이상 증가할 전망으로 케이블 수요도 급증할 것이다”고 말했다.
구본규 LS전선 대표이사는 “LS그린링크 공장 건설은 LS전선이 글로벌 에너지 인프라 기업으로 도약하는 전환점이다”며 “세계 최고 수준의 제조 인프라를 바탕으로 급증하는 글로벌 해저케이블 수요에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대응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LS전선은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 미국은 물론 유럽과 중동을 아우르는 글로벌 해저사업 공급망의 중심축을 구축할 계획이다. 또한, LS마린솔루션과 LS에코에너지와의 사업 시너지도 기대하고 있다.
[CEO스코어데일리 / 박대한 기자 / dayhan@ceoscore.co.kr]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