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부거래 비중 2023년 25.5%에서 3년 만에 5.1%p 증가
지난해 내부거래액 9조7468억원…매출 줄며 비중 높아져
주요 내부거래 대상기업은 ‘삼성전자’…품목은 ‘건설공사’

삼성물산의 내부거래 비중이 3년 연속 증가하고 있다. 삼성물산의 주요 내부거래 대상은 삼성전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9일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대표 조원만)가 2025년 지정 30대 대기업집단의 계열회사 간 상품·용역거래 현황을 조사한 결과 삼성물산의 내부거래 비중은 2022년 37.4%에서 2023년 40.5%, 2024년 42.5%로 3년 간 5.1%p 증가했다.
내부거래 액수는 2023년 9조8763억원에서 2024년 9조9031억원까지 올랐다가 지난해는 소폭 감소한 9조7468억원을 기록했다. 내부거래 액수가 줄었는데도 내부거래 비중이 증가한 것은 삼성물산의 매출액이 줄었기 때문이다.
내부거래 비중을 살펴보면 국내 계열사 간 내부거래 비중이 증가하고 있다. 2022년 25.5%였던 국내계열 내부거래 비중은 2023년 29.3%로 올랐고, 지난해는 31.9%를 기록하며 30%대로 진입했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 대규모기업집단현황공시에 따르면 삼성물산은 상장회사와 그 계열회사 간 거래 금액이 일정 규모를 넘어갈 경우, 상품·용역 거래 내역을 공시하고 있다.
지난해 기준, 삼성물산의 계열회사 간 주요 상품·용역거래 내역에 공시된 품목은 대부분 건설공사 및 철강, 조경공사, 골프장 운영업 등이며 주요 거래 상대는 삼성전자와 삼성디스플레이, 삼성중공업, 삼성생명보험 등이다.
이 중 가장 큰 규모를 차지하는 것은 삼성전자와 거래한 건설공사다. 지난 한 해 동안 삼성물산이 삼성전자와 체결한 건설공사는 6조386억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거래 건수는 총 163건으로, 150건이 수의계약으로 진행됐다. 수의계약 비중이 90%를 넘어서는 것이다.
다만 삼성물산 측은 보안이 중요한 공사가 많은 만큼 수의계약 비중이 높다는 입장이다.
삼성물산 관계자는 “보통 경쟁입찰로 진행하는 게 일반적이지만 긴급한 경우나 보안이 필요한 경우 등 수의계약이 가능한 내부거래 용역이 있다”며 “특히 반도체 공장 공사 등 보안이 중요한 공사는 수의계약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공사 추정가격이 2000만원 이하의 소액 공사이거나 천재지변 등 긴급한 상황, 보안상 경쟁입찰이 곤란한 경우에는 수의계약이 가능하다.
이 외에도 주요 상품·용역거래 기준, 삼성디스플레이와 1년 동안 1조4332억원 규모의 내부거래를, 삼성중공업과 944억원 규모의 내부거래를 진행했다.
한편, 삼성물산의 지난해 매출액은 3년 연속 감소세다. 2022년 26조4066억원이었던 매출액은 2023년 24조4737억원으로 7.3% 줄었고 지난해 매출액은 22조9133억원으로 3년 간 13.2% 줄었다.
[CEO스코어데일리 / 박수연 기자 / dduni@ceoscore.co.kr]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