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이피알, 자체 생산 PDRN·PN 활용 스킨부스터 사업 진출

시간 입력 2024-07-17 14:33:56 시간 수정 2024-07-17 14:33:56
  • 페이스북
  • 트위치
  • 카카오
  • 링크복사

항노화 신소재로 각광받는 조직 재생 물질 PDRN과 PN을 자체공장 통해 직접 생산 나서
평택 준비 중인 자체생산시설 연내 준공 및 시제품 출시 목표…최대 10조 평가 시장 도전

에이피알 팩토리 평택 제3공장 현장 모습. <사진제공=에이피알>

에이피알은 PDRN과 PN 소재의 자체 생산 및 해당 소재를 활용한 스킨부스터 관련 사업에 진출한다고 17일 밝혔다.

PDRN(폴리데옥시리보뉴클레오티드)과 PN(폴리뉴클리오티드)은 연어나 송어의 정액이나 정소에서 유전자 조각을 추출해 만드는 물질이다. PDRN과 PN은 모두 재생 및 항염 효과를 가지고 있고, 유사한 생산 프로세스를 거치지만 핵산체의 길이와 분자크기에 따라 쓰임의 차이를 가지고 있다. 국내에는 지난 2008년 식품의약품안전처 의약품 허가와 함께 등장했다. 초기엔 치료 목적으로 주로 사용됐으나 현재는 피부 재생 효과를 활용한 미용 목적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PDRN과 PN 관련 시장의 사업성은 매우 높은 것으로 평가된다. 지난 2023년 해양수산부 발표에 따르면 PDRN 관련 글로벌 시장 규모는 2024년 76.8억 달러(한화 약10조6100억 원)에 달할 전망이다. 미용 목적에 집중한 스킨부스터 시장 역시 계속 성장할 것으로 기대된다. 글로벌 시장조사기관들은 2030년까지 관련 시장 규모가 2조원을 훌쩍 넘어설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에이피알은 이에 자체 생산 시설을 갖추고 PDRN과 PN관련 사업에 본격 진출한다. 경기도 평택에 위치하게 될 생산 시설은 소재 형태를 비롯해 추후 사업의 확장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시설이 될 예정이다. 현재 해당 공장의 규모는 약 4000평 규모 부지에 건축면적은 1500평 정도다. 에이피알은 연내 공장의 준공을 1차 목표로 하고 있으며, 본격 가동을 통한 시제품 출시까지 이뤄낼 계획이다.

에이피알은 PDRN과 PN 사업 육성을 통해 단계적으로 ‘PDRN 밸류체인’을 완성할 계획이다. 먼저 소재 공급 사업에 진출해 PDRN 및 PN 관련 제품 제조사에 소재를 판매하고 자사 브랜드 메디큐브를 통해 자체생산 PDRN이 함유된 앰플이나 크림 등의 화장품을 출시할 계획이다.

특히 에이피알은 메디큐브 에이지알(AGE-R) 뷰티 디바이스와 화장품의 병용 효과를 계속 연구하고 있어 새로운 시너지가 기대된다. 회사는 궁극적으로 관련 의료기기 품목허가까지 획득한 뒤 PDRN과 PN의 활용범위를 의료기기 4등급 ‘스킨부스터(피부)’와 ‘조직수복용생체재료(무릎관절)’ 영역까지 확대해 스킨케어 기반의 바이오·헬스케어 사업영역 진출을 목표로 하고 있다.

에이피알 관계자는 “PDRN과 PN은 탁월한 조직 재생 효과를 바탕으로 향후 피부 미용 업계에서 더욱 중요하게 다뤄질 신소재”라며 “자체 생산 및 소재 공급, 화장품과 뷰티 디바이스의 시너지, 나아가 헬스케어 진출까지 안티에이징과 피부 케어 사업을 향한 일관된 청사진을 그려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CEO스코어데일리 / 조희연 기자 / chy@ceoscore.co.kr]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