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력주자 이탈에 힘 빠진 제4인뱅, KCD뱅크 독주…사업 무산 가능성 ‘솔솔’

시간 입력 2025-03-24 07:00:00 시간 수정 2025-03-21 17:25:59
  • 페이스북
  • 트위치
  • 카카오
  • 링크복사

더존뱅크, 예비인가 신청 철회…혁신 금융플랫폼에 주력
유뱅크도 ‘안정적 환경’ 이유로 신청 연기 결정
한국소호뱅크 독주 예상…불안정한 정국은 변수

금융위원회 김병환 위원장이 2월 24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제4인터넷전문은행 인가 신청을 앞두고 유력 컨소시엄들이 잇따라 발을 빼면서 사업 추진 동력이 약화하고 있다. 이에 따라 유력 후보인 한국소호은행(KCD뱅크)의 독주 가능성이 제기되는 한편, 일각에선 사업 자체가 무산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국내 네 번째 인터넷전문은행이 닻을 올리려면 혁신적인 금융 서비스 제공, 충분한 자본력, 포용성 있는 사업 계획을 증명해야 한다. 현실적으로 금융당국이 요구하는 심사 기준을 모두 충족하기 어려운 만큼 후보군들은 도전 시기를 하반기 이후로 늦추거나 진출 자체를 철회하고 있는 실정이다.  

24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위원회는 오는 25일부터 26일까지 제4인터넷은행 예비인가 신청을 받을 계획이다. 지난 2023년 7월 ‘은행권 경영·영업관행·제도 개선 방안’을 발표한 지 1년 9개월여만이다.

당초 금융권은 전사적자원관리(ERP)에 강점을 지닌 더존비즈온이 주도한 ‘더존뱅크’, AI 기반 금융플랫폼을 내세운 ‘유뱅크’, 소상공인 특화 전략을 들고나온 ‘한국소호은행’의 3강 구도를 예상했다. 그러나 더존비즈온이 참여를 철회하고 유뱅크 컨소시엄도 예비인가 신청을 연기하면서 사실상 경쟁 구도가 해체됐다.

더존비즈온은 ERP 사업으로 얻은 데이터 역량을 토대로 중소기업과 소상공인 등 기업대출 시장에서 시너지를 내겠다는 계획이었다. 그러나 신규 사업을 추진하기보다는 ‘혁신 금융플랫폼’ 구축에 주력하기로 전략 방향을 선회했다.

유뱅크는 현대해상, 렌딧, 삼쩜삼(자비스앤빌런즈) 등 다양한 산업에서의 혁신기업이 참여한 AI 기반 인터넷은행 컨소시엄이다. 그러나 “안정적인 환경이 조성된 상황에서 신중하게 추진하는 것이 좋겠다”며 이번 예비인가 신청에는 참여하지 않기로 했다.

한국신용데이터(KCD)가 주도하는 한국소호은행은 우리은행과 NH농협은행, OK저축은행, 한국투자증권 등 주요 금융사들이 참여해 자본력과 인프라 측면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특히 KCD의 소상공인 거래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신용평가 모델, 매출 연동 대출 구조 등 혁신적인 사업계획도 강점으로 꼽힌다.

예비인가 신청 경쟁에서 더존비즈온과 유뱅크가 이탈하면서 한국소호은행이 유력한 후보로 부상했다. 소상공인 단체가 주축이 된 ‘소소뱅크’, 농업인·MZ세대 특화의 ‘AMZ뱅크’, 해외동포를 겨냥한 ‘포도뱅크’ 등도 인가 신청을 준비하고 있지만, 아직 사업계획의 구체성과 자본력에서 불확실성이 있다는 지적이다.

특히 금융위원회가 △자금조달의 안정성 △사업계획의 혁신성 △포용성 △실현 가능성 등을 중심으로 예비인가 심사를 진행할 계획인 만큼, 주요 금융사가 참여한 한국소호은행이 유리한 고지를 선점했다는 평가다.

정치적 리스크는 변수다. 제4인터넷은행은 윤석열 정부가 은행 과점 해소를 위해 추진해온 금융정책의 일환이다. 조기 대선 가능성이 제기되는 정치권 분위기를 고려하면, 정권 교체 시 정책의 지속성은 장담할 수 없다. 차기 정부가 금융산업에 대한 다른 기조를 택할 경우 사업 자체가 전면 재검토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제4인터넷은행이 인가를 받더라도 실질적으로 시장에서 살아남을 수 있을지는 의문이다. 우량자산 확보가 어려운 구조에서 중저신용자 위주의 대출을 늘리면 자산 건전성에 부담이 커진다. 그렇다고 해서 보수적인 대출 전략을 택하면 수익 창출이 늦어진다.

카카오뱅크와 토스뱅크, 케이뱅크 등 기존 3사 역시 초기 단계에서 자본 조달과 건전성 유지에 어려움을 겪었다. 최근에는 가계부채 총량 규제로 인해 주택담보대출 등 대출 자산을 확대하기도 쉽지 않다.

금융위 관계자는 “기존 인터넷은행 3사의 자본금 수준을 감안해 충분한 자본력을 갖추고, 안정적으로 시장에 안착할 수 있는지 여부를 꼼꼼히 심사할 계획”이라며 “신청서 접수 이후 민간 외부평가위원회 평가를 포함한 금융감독원 심사를 거쳐 정례회의에서 예비인가 여부를 의결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CEO스코어데일리 / 김기율 기자 / hkps099@ceoscore.co.kr]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