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총 500대 기업, 경영·재무 출신 CEO가 ‘절반’
글로벌 기업, ‘기술형 CEO’ 중심 추세와 대조
대표이사 전공도 상경 계열 늘고 공학 계열은 감소
CEO스코어, 시총 500대 기업 대표이사 현황 분석

국내 시가총액 상위 500대 기업 대표이사(CEO) 가운데 경영·재무 출신의 ‘관리형 CEO'가 절반이나 되고, 3년 전에 비해서도 2.9%포인트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반면 기술·연구직 출신의 ‘기술형 CEO’는 28.4%에 불과하고, 3년 전에 비해서도 3.4%p 줄어들었다.
이는 글로벌 주요 대기업들이 AI(인공지능), 로봇 등 첨단 기술 트렌드에 맞춰 엔지니어 출신 CEO를 전면에 내세우는 추세와 대비되는 것이어서 눈길을 끈다.
19일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대표 조원만)가 시가총액 상위 500대 기업 중 470개 사를 대상으로 올해 3월(637명)과 2022년 3월(655명) 기준 대표이사들의 이력을 분석한 결과, 기술·연구 직무 출신 비중은 28.4%(181명)로 3년 전 대비 3.4%p 줄었다. 생산·구매 등 현장직 출신도 3.3%(21명)로, 3년 전(4.6%)보다 1.3%p 감소했다.
반면, 경영·재무 등 이른바 관리형 CEO 비중은 같은 기간 46.9%에서 49.8%(317명)로 2.9%p 늘어나며 전체의 절반(49.8%)에 육박했다.
엔지니어 출신 CEO 대신 관리형 CEO를 늘리는 추세는, 특히 자산 총액 5조원 이상인 대기업집단 소속 기업들(309명 조사)에서 더욱 뚜렷했다. 대기업 대표 가운데 기술·연구직 출신은 3년 새 4.6%p가 감소한 16.2%로, 5명 중 1명도 되지 않았다. 반면 경영·재무 출신은 58.6%(181명)로, 같은 기간 5.0%p나 증가했다.
또한 대기업 집단 이외 기업군(328명 조사)의 경우, 기술·연구직 출신이 39.9%로 상대적으로 비중이 컸지만, 이들 기업군도 역시 3년 전보다는 2.1%p가 줄어들었다. 반면 경영·재무 출신 대표 비중은 41.5%(136명)로, 2022년 3월(40.5%)보다 1.0%p 늘었다.

엔지니어 출신 CEO의 감소추세는 대표이사의 대학 전공에서도 확인된다. 조사 결과, 경영·경제학 전공자 비중은 3년 전 27.3%에서 올해 29.9%로 2.6%p 늘어난 데 반해, 전자·화학·기계·산업공학 등 공학계열 전공은 대부분 줄어드는 추세를 보였다. 실제, 전자·전기공학 출신은 7.9%에서 6.8%, 기계공학 출신은 4.6%에서 4.2%, 산업공학 출신도 3.2%에서 2.7%로 감소했다. 화학 및 화학공학 전공은 9.9%로 동일했다.
CEO 출신 대학은 서울대·연세대·고려대(SKY)가 전체의 46.0%로, 전체의 절반에 육박했다. 이 중 절반에 가까운 22.5%가 서울대 출신이었고, 연세대(12.7%), 고려대(10.8%) 출신이 그 뒤를 이었다.
조사대상 기업의 대표이사 평균 나이는 59.6세로, 3년 전(58.4세)보다 1.2세가 높아졌다.
[CEO스코어데일리 / 김동일 기자 / same91@ceoscore.co.kr]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