덩치 키운 4대 금융지주, 건전성까지 지킨 비결은

시간 입력 2021-08-08 07:00:01 시간 수정 2021-08-06 15:41:08
  • 페이스북
  • 트위치
  • 카카오
  • 링크복사

DSR 등 정부 가계 대출 규제 정책, 건전성 지표에 긍정적 영향
NPL커버리지 비율 최대 9%포인트 상승…수익‧건전성 동시 확보로 기초체력 ‘튼튼’

올 상반기 4대 금융지주가 최대 실적을 기록하는 등 외형을 키운 가운데서도 고정이하여신(NPL, 부실채권) 커버리지비율을 높이며 건전성 확보에 성공했다. 정부의 가계 대출 규제 기조에 맞춰 연체 리스크를 관리한 효과가 빛을 발했다는 평가다.

8일 금융권에 따르면 4대 금융지주의 지난 6월 말 기준 단순 평균 NPL 커버리지비율은 157.9%로 지난해 말 153.8%에 비해 4.1%포인트 상승했다.

금융사의 대표적인 건전성 지표인 NPL 커버리지비율이란, 고정이하여신 잔액 대비 대손충당금 설정액으로 잠재적인 부실채권에 대처할 수 있는 손실 흡수 능력을 의미한다. 부실자산에 대한 완충 능력을 대변하는 만큼 비율이 높을수록 자산 건전성이 양호한 것으로 평가된다.

금융지주별로는 우리금융이 153.8%에서 163%으로 9.2%포인트 상승하며 가장 높은 개선세를 보였다. KB금융과 하나금융의 경우 같은 기간 각각 4.5%포인트, 7.5%포인트 개선한 173.1%, 151.3%을 기록했다. 신한금융의 경우 144%로 5%포인트 악화했지만, 여전히 금융당국이 요구하는 기준치인 100%를 상회하고 있다.

이 같은 결과는 적절한 대출‧연체 리스크 관리에서 비롯됐다. 4대 금융지주는 지난해에 이어 올 상반기에도 정부의 대출 규제 정책에 적극적으로 동참하며 가계 대출 증가세를 억제했다.

정부는 총부채상환비율(DTI)보다 한층 강화된 대출규제인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을 지난달부터 도입했다. 주택담보대출과 신용대출, 전세대출, 예적금담보대출 등 모든 가계대출 원리금 상환액을 연간 소득으로 나눈 값으로 차주의 원리금 상환 부담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비율이 낮아질수록 받을 수 있는 대출 규모는 줄어든다.

정부 대출규제책 시행 과정에서 은행권은 신용평가시스템(CSS)의 고도화와 모니터링 강화 등으로 대손비용 발생 위험도를 효과적으로 제어했다. 통상적으로 부실 대출이 생길 경우를 대비해 미리 적립하는 대손충당금은 실적에 곧바로 반영돼 금융사 수익성에 영향을 미친다. 상반기 대손충당 발생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며 실적과 건전성 모두 방어에 성공했다는 점이 높게 평가받고 있다.

KB금융과 신한금융의 상반기 대손충당금 전입액은 각각 3971억원, 3590억원으로 지난해 동기와 비교해 26.4%, 56.3%씩 줄었다. 우리금융은 2049억원, 하나금융은 2020억원으로 각각 54.1%, 49.4% 감소한 상황이다.

금융권 관계자는 “4대 금융지주가 선제적인 리스크 관리를 통해 고위험 대출 등을 줄여 NPL 비율을 안정적으로 관리했다”며 “건전성 지표의 안정은 대손충당금의 감소로 이어지며 수익성까지 확보했다”고 말했다.

[CEO스코어데일리 / 유수정 기자 / crystal@ceoscore.co.kr]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