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O 법제화 ‘급물살’…신한투자·하나증권 토큰증권 사업 채비

시간 입력 2025-06-24 17:50:04 시간 수정 2025-06-24 17:50:04
  • 페이스북
  • 트위치
  • 카카오
  • 링크복사

금융당국, STO 제도화 담은 자본시장법 시행령 9월말 시행 목표로 제도화 나서
증권사들, STO 서비스 준비작업 개시…국내 STO 산업 2030년 14.5조까지 팽창 전망

그간 진척이 없었던 토큰증권(STO) 법제화 작업이 다시금 급물살을 타고 있다. 이에 증권사들도 ‘일시정지’ 했던 준비 작업을 재개하는 양상이다.

25일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지난달 입법예고했던 자본시장법 시행령 개정안을 오는 9월 말 시행을 목표로 제도화 추진에 나섰다.

이번 개정안은 특히 비상장주식 유통플랫폼, 조각투자 유통플랫폼 등을 공식적으로 제도화하는 내용을 담고 있어, 사실상 STO의 제도화를 의미한다.

정치권에서도 STO에 대해서는 여야 간 이견이 없는 만큼 무난히 국회의 벽을 넘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재명 대통령도 대선 시기 ‘디지털자산 기본법’을 공약, STO를 활용한 부동산‧지적재산권‧미술품 등 실물자산의 유통을 제도화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는 만큼 새 정부에서 더욱 적극적으로 추진될 조짐이다.

이에 그동안 진전이 없어 멈춰 있던 각 증권사의 STO 준비 작업도 다시금 시동이 걸리고 있다.

올 1분기까지만 해도 STO 관련 입법이 번번이 국회의 문턱을 넘지 못하면서, 증권업계에선 자칫 관련 사업 준비에 들인 비용이 허사로 돌아가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까지 나왔다.

실제로 일부 증권사들은 STO 담당 조직 축소에 나서기도 했다. KB증권은 STO 부서를 디지털자산사업추진단 산하로 이동시켰으며, 삼성증권은 STO 태스크포스(TF)를 팀 수준으로 축소했다.

그러나 조기 대선을 앞두고 STO 법제화 가능성이 높아짐에 따라 업계 분위기도 달라졌다.

하나증권은 지난달 30일 디지털자산운용 플랫폼을 운영하는 바이셀스탠다드와 STO 발행 및 시장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하나증권 관계자는 “이번 협약은 STO 상품이 제도권 내에서 발행되고 유통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는 첫걸음”이라며 “앞으로 여러 파트너십을 통해 STO 시장의 건전한 성장과 투자자가 신뢰할 수 있는 투자 기회를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신한투자증권도 이달 자사 모바일 트레이딩서비스(MTS) 내 ‘조각투자’ 메뉴를 새로 공개했다. 개인 투자자들이 실물자산 조각투자에 손쉽게 참여할 수 있도록 돕는 취지다. 신한투자증권은 “STO 시장의 제도화 움직임에 발맞춰 조각투자 시장을 선두적으로 준비하고자 마련했다”며 “향후 STO 제도 정비와 시장 확대에 발맞춰 조각투자 관련 기능을 더욱 강화할 것”이라고 전했다.

올 1분기 기준 증권사들의 개발비 투자도 전년 동기 대비 늘었다. 개발비는 각 증권사가 새로운 전산 시스템을 마련하기 위해 투입한 금액을 포함한다. 다만 각 증권사마다 공시 기준이 달라 STO 관련 투자금의 포함 여부는 각 사마다 다르다.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올 1분기 증권사의 개발비는 3688억원으로 전년 동기(3317억원) 대비 11.2% 늘었다.

STO에 대한 업계의 기대는 적지 않다. 하나금융연구소에 따르면 국내 STO 시장 규모는 2024년 1조5000억원 수준에서 오는 2030년에는 14조5000억원까지 늘어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STO를 통한 간접투자 방식으로 다양한 자산에 대한 자본공급 효과도 클 것으로 보인다. 2030년경 국내 STO의 주 투자대상은 비금융자산이 29.8%로 가장 많을 것이며, 주식(24.2%), 부동산(19.9%)에 대한 투자도 활발하게 이뤄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CEO스코어데일리 / 박예슬 기자 / ruthy@ceoscore.co.kr]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