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중국에 비해 미미한 AI 기술력…정면 대결 어려워
규모 경쟁보다 ‘버티컬 AI 서비스’ 선점으로 경쟁력 제고
“국가 투자에 AI 진화 속도 달려…기술 주권과 직결”
지난해 11월 오픈AI가 초대규모 AI 기반 챗봇 ‘챗GPT’를 대중에 공개하면서, 전 세계적으로 대규모언어모델(LLM) 개발 경쟁이 본격화 되고 있다. 특히 마이크로소프트(MS) 계열의 챗GPT에 맞서 올해 초 구글, 메타 등이 차례로 신규 LLM을 선보이면서 글로벌 빅테크간 AI 패권경쟁이 치열하게 전개되고 있다. 네이버, 카카오 등도 자체 LLM을 고도화하며 글로벌 빅테크와 대전을 준비하고 있지만, 아직은 연구개발(R&D) 투자규모나 생태계에서 워낙 격차가 커 버거운 상황이다. 구글, MS 등 글로벌 빅테크의 AI 시장을 겨냥한 파상공세가 예고되는 가운데, 향후 ‘AI 주권’을 지키기 위해서라도 국내 민간기업 뿐만 아니라 범 정부 차원의 AI 산업육성 정책이 시급한 실정이다. 이에, AI 패권경쟁 구도와 국내 AI 산업의 경쟁력, 그리고 정부의 AI정책과제 등을 3편에 걸쳐 점검해 보고자 한다. <편집자주>
네이버 등 국내 기업들이 글로벌 AI 경쟁에서 고군분투하고 있지만 미국, 중국 등 거대한 자본력을 지닌 AI 강국에는 역부족인 상황이다. 하지만 한국이 미국, 중국, 이스라엘과 함께 자체 초대규모 AI 모델을 보유한 국가라는 점에서 아직 ‘AI주권’을 가져올 찬스는 남아있다.
특히 AI 경쟁이 규모의 싸움이 아닌 효율성을 무기로 ‘버티컬 AI 서비스’ 시장을 빠르게 선점하는 대결인 만큼, 국내 기업들이 규모에서는 뒤지지만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다. 다만, 이를 위해서는 민간이 주도하고 정부가 적극적으로 지원하는 AI 산업 생태계가 구축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 글로벌 3대 AI 학회 채택 논문, 국내 기업 다 합쳐도 구글의 20% 수준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대표 김경준)가 최근 글로벌 3대 AI 학회에 채택된 논문을 전수 조사한 결과, 이들 학회에 채택된 논문 건수 상위 20개 기업에 속한 국내 기업은 삼성과 네이버 뿐이었다. 삼성과 네이버의 3대 학회 채택 논문 건수는 각각 32건, 28건으로 총 60건이었다. 또한 국내 기업 15곳이 3대 학회에 채택된 논문 수는 총 106건으로 1위 기업인 구글(541건)의 5분의 1 수준을 밑돌았다.
3대 학회에 논문이 채택된 국내 기업 수도 미미한 수준이다. 미국과 중국 기업이 각각 140곳(41.4%), 59곳(17.5%)으로 1, 2위를 차지한 반면, 한국은 전체 비중 4.4%에 해당하는 15곳에 그쳤다.
◆“아직 늦지 않았다”…범정부 차원 지원으로 AI주권 지켜야
오픈AI ‘GPT-4’, 구글 ‘팜2(PaLM2)’, 메타 ‘라마(LLaMA)’, 아마존 ‘타이탄(Titan)’ 등 미국 빅테크가 대규모언어모델(LLM) 개발 경쟁의 중심에 서있지만, 아직 한국이 ‘AI주권’을 완전히 빼앗긴 상황은 아니다.
한국은 미국, 중국, 이스라엘과 함께 독자적 초대규모AI 모델을 보유한 4개국 중 하나다. 현재 네이버와 카카오를 비롯해 LG, SKT, KT 등은 이미 자체 LLM을 보유하고 있거나 개발 중이다. 특히 네이버는 전 세계에서 3번째로 초대규모 AI 모델을 개발했던 만큼 앞선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들 국내 기업들은 AI주권을 지키기 위해서라도 범정부 차원의 AI 산업 육성 지원책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구글, MS 등 글로벌 빅테크에 AI 시장을 점식 당하지 않기 위해서는 민간기업의 힘만으로는 역부족인 상황이다.
성낙호 네이버클라우드 이사는 지난달 31일 뤼튼테크놀로지스가 개최한 ‘제너러티브 AI 아시아 2023’ 기조연설에서 “우리 AI가 경쟁력이 없으면 결국 외산 AI를 쓰게 될 것”이라며 “외산 AI를 쓰면 해외 기업들에게 일정 비용을 지속적으로 지불하며 ‘AI 식민지’로 전락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국가가 생성형 AI에 얼마나 투자하느냐에 따라 AI의 진화 속도가 결정되고, 이는 기술 주권과 직결된다”며 국가 차원의 AI 산업 육성을 강조했다.
◆‘버티컬 AI 서비스’ 선점 위해 정부의 데이터·인프라 지원 절실
국내 기업들은 미국 빅테크와의 정면대결은 펼치지 않겠다는 전략이다. 이미 앞서간 기술력과 거대한 자본력으로 파라미터(매개변수) 규모 싸움에서는 경쟁이 어렵기 때문이다. 대신 비용을 줄여 ‘가성비’를 높이고 특정 사용 분야에 맞춰 ‘버티컬 AI 서비스’ 구축에 힘쓴다는 계획이다.
김유원 네이버클라우드 대표는 지난 3월 ‘3차 AI 최고위 전략대화’에서 “예전 검색 엔진에서는 한국어와 영어 검색이 거의 호환이 안 될 정도의 격차가 있었는데 AI에서는 격차가 많이 줄고 있다”며 “앞으로 기술 격차는 더 줄어들 것이다. 그 전에 조금 더 과감하고 일상생활에 실제 도움이 되는 혁신적 서비스를 누가 만들어내는지가 중요한 단계”라고 말했다.
백상엽 전 카카오엔터프라이즈 대표도 “처음에는 파라미터 개수 경쟁으로 갔는데 규모가 크다고 무조건 좋은 것은 아니다”면서 “버티컬 경쟁에선 AI 데이터 개수가 적더라도 빠르게 모델링하고 학습하면 이길 수 있다”고 강조했다.
업계는 성공적인 초대규모 AI 육성을 위해 △대량의 학습 데이터 △대규모 GPU 학습 인프라 구축을 위한 서버 투자 △고성능의 사전훈련 AI 모델 및 숙련된 엔지니어 △국내 초거대 AI 서비스 확산을 위한 생태계 구축 등에 정부의 전폭적인 지원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다.
정부는 지난 4월 큰 ‘초거대 AI 경쟁력 강화방안’을 발표했다. 2027년까지 책 15만권 분량의 AI 학습용 핵심데이터를 구축하고, 할루시네이션(거짓 답변) 등 한계 돌파를 위한 차세대 기술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등을 추진한다. 또 초대규모 AI 개발 인프라를 종합적으로 지원하고 인력양성을 강화해 혁신 생태계를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이와 함께 사회적 수용력 향상과 규제 개선 등을 통해 범국가적 AI 혁신 제도와 문화를 정착시키겠다는 방침이다.
[CEO스코어데일리 / 김동일 기자 / same91@ceoscore.co.kr]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