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정밀화학, 최근 베트남산 요소 5000톤 추가 계약
제3국 통한 국내 요소 물량 확보량 3,7개월분으로 확대
중국이 산업용 요소 수출을 중단하면서 요소수 대란이 빚어질 것이라는 불안감이 확산하고 있는 가운데 정부가 국내 요소 재고를 충분히 확보했다고 밝혔다. 중국을 대신해 베트남 등 다른 국가에서 원활히 수급하고 있는 만큼 불필요한 요소수 사재기를 자제해줄 것도 당부했다.
장영진 산업통상자원부(산업부) 1차관은 6일 서울 송파구 롯데마트 월드타워점을 방문해 롯데정밀화학, 롯데마트 등 요소수 수입·유통 기업 관계자들과 면담하고, 판매 현장을 점검했다.
산업부는 롯데정밀화학 등 국내 기업들이 다양한 수입 대체선을 통해 요소를 확보했다고 강조했다. 실제로 최근 롯데가 베트남산 요소 5000톤을 추가로 계약한 것으로 전해졌다.
롯데정밀화학의 베트남산 요소 추가 계약으로 요소 물량 확보량은 국내 비축 및 중국 외 제3국 계약분을 더해 기존의 3개월분에서 3.7개월분으로 늘어났다고 산업부는 전했다.
장 차관은 “국내 재고 및 중국 외 계약 물량으로 3개월분 이상의 요소를 확보하고 있다”며 “이미 수입 대체선이 확보돼 기업들도 추가 물량 확보가 가능한 만큼 (요소수 대란이 있던) 2021년과 달리 충분히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상황이다”고 말했다.
이어 “차량용 요소의 안정적 수급에 문제가 없으니 국민들께서는 안심하시고 필요한 물량만 구매해 달라”고 당부했다.
관세청에 따르면 산업용 요소 수입액 중 중국 비중은 2021년 71%에서 지난해 67%로 소폭 낮아졌다. 그러나 저렴한 운송비 등 가격 요인으로 인해 중국산 요소의 수입 비중은 다시 90%로 높아진 상태다.
이런 와중에 중국이 요소 수출을 금지하면서 국내 요소 수급 불안은 점차 커지고 있다.
이에 업계 안팎에서는 중국을 대체할 제3국에서 국내 산업에 필수적인 상품들을 들여올 때 정부가 보조금을 지급하는 등 유인책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정부는 이같은 의견에 공감했다. 장 차관은 “수입선 다변화를 위한 제도적 방안으로 기업들이 제3국으로 수입 다변화를 할 때 지원금을 지급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며 “현재 운영 중인 공공 비축 물량도 과감히 확대할 예정이다”고 밝혔다.
[CEO스코어데일리 / 오창영 기자 / dongl@ceoscore.co.kr]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