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권 가계대출 4.8조 증가…3월보다 증가 폭 3.1조 확대

<사진=금융위원회>
금융위원회는 전 금융권 가계대출이 올해 4월 기준으로 총 5조3000억원 증가하면서, 전월 증가 폭인 7000억원보다 4조6000억원가량 늘었다고 14일 밝혔다.
금융위에 따르면 주택담보대출(이하 주담대)은 4조8000억원 증가하면서 전월 증가 폭인 3조7000억원 대비 1조1000억원가량 확대했다. 같은 기간 은행권 주담대 증가 폭도 2조5000억원에서 3조7000억원으로 1조2000억원 증가했으며 제2금융권 주담대 증가 폭은 1조2000억원에서 1조1000억원으로 1000억원 감소했다.
기타대출은 5000억원 증가해 전월 -3조원 대비 증가세로 전환했다. 이는 같은 기간 신용대출이 증가(-1조2000억원→1조2000억원)한 점 등에 기인한다.
업권별로 살펴보면 은행권 가계대출은 올해 4월 4조8000억원 증가해 전월 증가 폭인 1조7000억원 대비 확대했다. 세부적으로는 은행 자체 주담대 증가 폭이 전월 대비 확대(7000억원→1조9000억원)되고 정책성 대출도 증가 폭이 소폭 확대(1조8000억원→+1조9000억원)됐다. 기타대출은 신용대출 영향 등으로 전월 대비 증가세로 전환(-9000억원→1조원)했다.
제2금융권 가계대출은 올해 4월 5000억원 증가해 올해 3월 -9000억원 대비 증가세로 전환했다. 이때 저축은행(-2000억원→4000억원) 및 보험(-2000억원→1000억원) 가계대출이 증가세로 바뀌고 여전사(-9000억원→-1000억원)는 감소 폭이 축소됐다. 다만, 상호금융권(4000억원→2000억원)은 전월 대비 증가세가 다소 둔화하는 모습을 보였다.
금융위 관계자는 “지난 2~3월 증가한 주택 거래 관련 대출이 본격적으로 실행되면서 4월의 주담대 증가세 확대로 이어졌다”며 “신용대출을 중심으로 한 기타대출의 증가는 4월 중 주식시장 변동성 확대 등에 따른 자금 수요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3월에 비해 4월 가계대출이 다소 큰 폭으로 증가했지만 연간 가계대출 관리 목표 등을 감안 시 현재까지는 관리 가능한 범위 내에 있다”고 평가했다. 다만 “금리인하에 대한 기대감, 5월 가정의 달 자금 수요, 7월로 예정된 3단계 스트레스 DSR 시행 영향 등으로 가계대출 증가세가 확대될 가능성이 있는 상황”이라고 언급했다.
이어 “월별·분기별·지역별 가계대출 모니터링 강화, 금융사의 선제적 자율 관리 시행 유도 등 가계부채 관리를 위한 조치를 적극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CEO스코어데일리 / 백종훈 기자 / jhbaek@ceoscore.co.kr]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