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양자컴퓨팅 등 ICT R&D에 1.3조 투자…“‘AI G3’ 도약 일군다”

시간 입력 2025-01-02 16:42:13 시간 수정 2025-01-02 16:42:13
  • 페이스북
  • 트위치
  • 카카오
  • 링크복사

과학기술 및 정보통신·방송(ICT) 분야에 총 6조3214억원 투자
ICT에 1조3156억원 투입…AI·AI 반도체·양자 등 핵심 기술 양성 추진
5G 오픈랜·6G·사이버보안 등 디지털 인프라 기술 확보에도 지원

<출처=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정부가 올해 AI(인공지능) 대전환 추진과 기술사업화 기반 마련을 목표로 정보통신기술(ICT) 분야에 1조3156억원을 투입한다. 특히 AI, AI 반도체, 양자 등 핵심 기술 양성에 1000억원 이상 신규 투자하며 ‘AI G3’ 도약에 속도를 낸다.

2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올해 과학기술 분야 및 정보통신․방송(ICT) 분야 연구개발을 위해 총 6조3214억원을 투자하는 ‘연구개발사업 종합시행계획’을 확정했다고 밝혔다. 이 중 정보통신·방송(ICT) 분야 연구개발(R&D)에는 1조3156억원이 투입된다. 이는 전년대비 12.9%(1499억원) 증가한 수치다.

세부적으로는 △정보통신방송연구개발사업 9834억원 △국제공동연구-표준화사업 410억원 △ICT기술사업화사업 13억원 △ICT인재양성사업 2163억원 △양자팹공정기술고도화기반구축 등 ICT기반조성사업에 736억원을 책정했다.

먼저 과기정통부는 AI·AI 반도체·양자 등 3대 게임체인저 기술과 5G 오픈랜, 6G, 사이버보안 등 디지털 혁신기술 확보를 위한 ICT 부문에 집중 투자한다.

특히 광범위한 작업과 도메인에 걸쳐 지식을 이해, 학습하고 실세계에 적용할 수 있는 ‘범용인공지능(AGI)’ 탐구 과제 및 지속 가능한 혁신 및 안전·신뢰 보장을 위한 ‘AI 안전 기술개발’을 추진하고, 민간 클라우드를 활용해 AI연구에 필요한 컴퓨팅 인프라를 지원하는 데 총 230억원이 새로 책정됐다.

최근 각광받고 있는 양자 기술에 대해서도 137억7800만원을 신규 투입한다. 이를 통해 양자암호통신‧센싱 산업화를 위한 R&D 지속 추진 및 양자 기반기술(양자계측 방법론), 양자정보처리에 필수적이고 해외에 의존 중인 양자 소부장 기술 개발을 병행하기로 했다.

AI 반도체 분야에는 563억4700만원을 신규 배정하고, 국산 AI반도체 기반 클라우드 서비스 지원을 위한 핵심기술 개발 추진한다.

‘2025년도 과기정통부 연구개발사업 종합시행계획’에 따른 ICT R&D 프로세스별 혁신(안). <출처=과학기술정통부>

이 외에도 과기정통부는 차세대 네트워크(6G), 6G 표준 기반 저궤도 위성통신 시스템, 국가안보·국민안전을 위한 사이버보안 등 디지털 인프라 혁신기술 및 감각인지 한계 극복과 미디어 프로세스 혁신 등 실감 콘텐츠 원천기술도 확보한다.

또한 디지털 경제성장을 견인할 전략기술 분야 핵심인재 확보를 위해 AI 분야 최고급 인재 및 산·학 연계·협력을 통한 AI반도체 분야 실전형 인재 양성을 추진하고, 디지털 신산업을 견인할 고급인재 양성을 목적으로 학․석사 연계 지원, 지역인재 양성한다.

이외에도 과기정통부는 기술수요조사부터 기획·평가·관리와 성과 환류에 이르는 ICT R&D 프로세스 전주기를 개선할 계획이다. 현장이 요구하는 최적 수요를 발굴해, 방향성이 명확한 수요자가 원하는 R&D 기획을 추진한다. 특히, 연구현장 및 시장 수요 중심 기획을 위해 협단체, 학회 등 수요발굴 채널을 확대하고, 현장 맞춤형 및 집중 수요조사를 실시해 상시 기획과 집중기획을 통한 기획의 적시성을 확보한다.

이후 평가의 전문성 향상을 위해 최고 전문가 평가위원 발굴 및 위촉을 확대하고 평가 횟수 제한, 상피제 대폭 완화 등을 추진한다. 동시에 기술 공유, 축적 및 연구자간 시너지 강화를 위한 과제 협의체를 운영하며, 개방형 기술 성과 교류회를 추진함으로써 R&D 프로세스와 사업화 연계 시스템을 혁신한다.

한편, 과기정통부는 이번에 확정된 종합시행계획에 따라 신규 사업과 과제별 추진 일정도 이날 공고했다. 이후 이달 23일~25일까지 3일간 열리는 정부 연구개발사업 부처합동 설명회에서 구체적인 내용과 과제 공모 시기, 절차 등을 상세히 안내할 계획이다.

[CEO스코어데일리 / 진채연 기자 / cyeon1019@ceoscore.co.kr]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