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간 매출액 36조64370억원, 영업이익 4606억원
4분기 영업이익 1729억원 흑자전환…정제마진 회복

에쓰오일 서울 마포구 본사 사옥 전경. <사진제공=에쓰오일>
에쓰오일(S-OIL)의 지난해 연간 영업이익이 업황 악화 영향으로 절반 이상 줄어들었다. 4분기 영업이익은 정제마진 개선에 힘입어 전 분기 대비 흑자 전환했다.
에쓰오일은 지난해 연간 매출액 36조64370억원, 영업이익 4606억원을 기록했다고 24일 공시했다. 매출은 전년 대비 2.5% 증가했으나, 영업이익은 66% 감소했다. 순손실은 1634억원으로 적자 전환했다.
에쓰오일 관계자는 “매출액은 판매 물량 증대와 함께 소폭 증가했다”며 “정제마진 및 석유화할, 윤활기유 스프레드가 전년 대비 약세를 보이면서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4분기 매출액은 8조9171억원으로 전 분기(8조8406억원) 대비 소폭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2608억원으로 흑자 전환했다. 정제마진 개선 및 긍정적인 재고관련 효과가 나타나며 수익성 회복에 성공했다.
사업부문별 실적을 살펴보면, 정유 부문이 4분기 매출액 7조138억원, 영업이익 1729억원을 기록하며 전사 매출을 이끌었다. 아시아 정제마진은 역내 정유사 정기보수로 인해 공급 물량이 감소한 가운데, 난방유 수요가 계절적으로 증가하면서 전 분기 대비 상승했다.
석유화학 부문은 매출액 1조960억원, 영업손실 281억원을 기록했다. 아로마틱 계열의 파라자일렌(PX)와 벤젠 시장은 동절기 휘발유 수요 둔화로 인해 휘발유 혼합에 쓰이는 아로마틱 원료 수요가 감소하고, 중국 신규설비 가동에 따라 공급이 증가해 스프레드가 하락했다. 폴리프로필렌(PP) 시황은 블랙프라이데이, 성탄절 등 계절적 수요로 인해 소폭 개선된 반면, 프로필렌옥사이드(PO) 시장은 중국 설비 정기보수 후 재가동에 따라 공급이 늘어난 가운데 다운스트림 수요가 부진해 약세를 보였다.
윤활기유 부문은 매출액 8073억원, 영업이익 1459억원을 기록했다. 윤활기유 스프레드는 계절적 비수기에 따른 수요 둔화로 소폭 하락했다.
에쓰오일 관계자는 “올해 대내외 불확실성이 확대된 상황이나, 아시아 역내 개발도상국의 경제 성장이 견고하게 지속되고 중국이 경기부양책을 강화함에 따라 석유수요가 안정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CEO스코어데일리 / 김은서 기자 / keseo@ceoscore.co.kr]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