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세대 전고체 배터리, 기선잡자”…SK온, 전고체 배터리 학술지 표지·특허등록 ‘속도’

시간 입력 2025-01-13 11:00:45 시간 수정 2025-01-13 11:00:45
  • 페이스북
  • 트위치
  • 카카오
  • 링크복사

초고속 광소결 기술·LMRO 양극재 논문 국제 학술지에 게재
고체전해질 제조 기술 고도화·전고체 배터리 수명 개선 기대

SK온과 한국세라믹기술원의 산화물계 고체전해질 적용 광소결 기술 연구 결과가 담긴 국제 학술지 ‘ACS 에너지 레터스(ACS Energy Letters)’의 표지. <사진=SK온>

SK온이 전고체 배터리 연구개발 성과를 발표하고 기술력 강화에 박차를 가한다. 도전적인 기술 탐색과 다양한 파트너십을 통해 제조 공정 및 소재 혁신을 이끌고 차세대 배터리 경쟁력을 키운다는 전략이다.

SK온은 13일 국내 유수 대학·기관과 함께 진행한 전고체 배터리 연구개발 과제의 결과물이 논문으로 작성돼 최근 국제 학술지에 연이어 게재됐다고  밝혔다.

SK온은 일부 연구 결과에 대해서는 국내외 특허 출원도 완료했다.

SK온이 한국세라믹기술원 김진호 박사 연구팀과 함께 진행한 연구는 초고속 광(光)소결 기술을 적용한 고분자-산화물 복합계 전고체 배터리 제조 공정 고도화가 핵심이다. 인쇄 회로 기판 공정에 주로 활용되는 광소결 기술을 배터리 제조에 접목시킨 획기적인 연구라는 평이다.

해당 연구를 다룬 논문은 에너지·화학 분야의 저명한 학술지인 ‘ACS 에너지 레터스(ACS Energy Letters)’에 표지 논문으로 실렸다. 논문 저자 9명 중 6명이 SK온 구성원이다.

SK온은 빠른 속도와 저온 열처리가 특징인 광소결 기술을 산화물계 전고체 배터리 제조 공정의 해법으로 보고 있다.

먼저 연구진은 조사된 빛 에너지의 손실을 최소화하는 유색 무기 안료를 발견해 산화물 전해질 소재에 적용했다. 이후 선택적으로 수 초안에 열처리를 할 수 있는 초고속 광소결 기술을 활용해 최적의 균일성을 갖는 다공성 구조체를 만드는데 성공했다.

연구진은 초고속 광소결 기술로 제조된 산화물 내부에 고분자 전해질을 포함하는 고분자-산화물 복합전해질을 성공적으로 구현했고, 실험 결과 이 전해질이 적용된 배터리는 우수한 수명 특성을 나타냈다.

SK온과 서울대학교의 황화물계 LMRO 양극재 연구 결과가 담긴 국제 학술지 ‘어드밴스드 에너지 머티리얼스(Advanced Energy Materials)’의 표지. <사진=SK온>

또 SK온은 망간 리치(LMRO) 양극재의 황화물계 전고체 배터리 적용 가능성을 분석한 연구 결과도 공개했다.

이규태 서울대학교 교수 연구팀과 진행한 이 연구는 에너지 소재 분야의 권위 있는 국제학술지인 ‘어드밴스드 에너지 머티리얼스(Advanced Energy Materials)’의 표지 논문으로 지난달 발간됐다. LMRO 활물질의 열화 메커니즘을 상세히 규명해 성능 위주로 다룬 기존 연구와 차별되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LMRO 양극재는 니켈, 코발트보다 저렴한 망간이 기반이 되어 원가적 이점이 크다. 다만 기존 리튬이온배터리에 적용시 액체 전해질 부반응로 인한 가스 발생, 전압 강하·용량 감소 등의 난제가 있어 업계는 전고체 배터리 적용 가능성에 대해 연구해왔다.

현재 SK온은 고온·고전압 조건 아래 충방전 중 LMRO 활물질에서 발생한 산소(O₂)가 황화물계 고체전해질을 산화시켜 열화가 발생하는 현상을 여러 분석을 통해 규명했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산소 발생을 저감하는 특수 코팅제를 적용해 배터리 수명을 개선하는 방법도 찾아냈다.

박기수 SK온 R&D 본부장은 “이번 성과는 SK온의 적극적 연구개발과 뛰어난 기술 역량이 학계·기관의 전문가들과 시너지를 만들어 이뤄낸 것이다”며 “SK온은 차세대 배터리 분야를 선도하기 위해 연구개발에 더욱 매진하겠다”고 말했다.

[CEO스코어데일리 / 박대한 기자 / dayhan@ceoscore.co.kr]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