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1~11월 점유율, 韓 18%…경쟁국인 中 69%
2016년 이후 8년 만에 최저 수주 비율 기록할 듯
“수주 양보단 고부가가치 선별 수주로 질적 성장 중”

HD현대중공업 울산조선소 전경. <사진제공=HD현대중공업>
슈퍼사이클에 올라탄 HD한국조선해양, 삼성중공업, 한화오션 등 국내 조선 3사가 올해 4분기에도 역대급 실적을 이어갈 것으로 전망된다. 연간 수주량은 중국의 4분의 1에 그칠 것으로 예상되지만 고부가가치 선종 위주의 선별 수주 전략으로 수익성 개선이 본격화되고 있는 영향이다.
24일 영국의 조선·해운 시황 분석기관 클락슨리서치에 따르면 올해 1∼11월 글로벌 시장에서 발주된 선박은 총 6033만CGT(표준선 환산톤수·2159척)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한국은 192만CGT(248척)를 수주했다.
반면 경쟁 국가로 꼽히는 중국은 한국의 4배에 달하는 4177만CGT(1518척)의 수주량을 기록했다. 중국과 한국의 수주량 차이는 현재까지 3085만CGT로, 올해 두 국가의 수주량 격차도 사상 최대로 벌어질 전망이다.
수주 비율 역시 중국 69%, 한국이 18%로 집계됐다. 국내 조선업계의 수주 비율은 지난 2016년 15.5% 이후 8년 만에 가장 낮은 수치다.
이러한 수주량 차이에도 조선 3사는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다. 중국이 벌크선 등 저가 선종으로 점유율을 높이고 있는 것과 달리 국내 조선사들은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 암모니아운반선 등 고부가가치 선종 위주의 선별 수주 전략으로 수익성을 끌어올리면서 수주의 양보단 질을 높이고 있기 때문이다.

삼성중공업이 건조한 LNG 운반선. <사진제공=삼성중공업>
조선업계 관계자는 “중국이 저가 수주로 점유율을 높이고 있는 것은 속 빈 강정이나 다름없다”면서 “국내 조선사들은 이미 수년치 일감을 확보해 놓고 있어 굳이 저가 수주 경쟁을 벌일 이유가 없다”고 말했다.
실제로 조선 3사는 약 3년 치 이상의 수주잔고를 쌓아놓고 있다. 이를 기반으로 업체 별 실적 개선세도 빨라지고 있다. 업계에서는 올해 조선 3사가 2011년 이후 13년 만에 동반 흑자를 달성할 것으로 보고 있다.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HD한국조선해양의 4분기 영업이익 전망치는 4765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96% 증가할 것으로 관측됐다. 삼성중공업은 지난해 4분기 보다 약 2배 가량 증가한 1482억원의 영업이익을 거둘 것으로 추정된다. 한화오션 역시 4분기 영업이익 970억원으로 전년 대비 흑자 전환에 성공할 것으로 보인다.
조선 3사는 올해 수주 목표치도 대부분 채운 상태다. HD한국조선해양은 올 들어 현재까지(24일 기준) 205억6000만달러를 수주해 연간 수주 목표 135억달러의 152.2%를 달성했다. 삼성중공업은 68억달러로 올해 목표치인 97억달러의 70%를 돌파했고, 한화오션은 지난해 보다 2배 이상 많은 81억5000만달러의 수주 실적을 기록했다.
[CEO스코어데일리 / 박주선 기자 / js753@ceoscore.co.kr]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