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日 저가 공세로 포스코‧현대제철 수익성 악화
현대제철, 후판 이어 수입 열연강판도 반덤핑 제소
포스코도 수입산 철강재 반덤핑 제소 검토 중

현대제철에서 생산하는 열연 제품. <사진제공=현대제철>
국내 철강업계가 후판에 이어 열연강판에도 반덤핑 제소를 결정하면서 수입산 저가 철강재에 대한 대응을 강화하고 나섰다. 중국과 일본 등에서 쏟아지는 저가 철강재로 철강사들의 불황이 길어지고 있는 탓이다.
23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제철은 최근 산업통상자원부 무역위원회에 수입산 열연강판을 대상으로 반덤핑 제소를 신청했다.
이는 지난 7월 중국산 후판에 대해 반덤핑 조사를 신청해 무역위 조사가 시작된 데 이어 5개월 만에 열연강판에 대해서도 반덤핑 제소 카드를 꺼낸 것이다. 이번 제소 대상에는 중국뿐만 아니라 일본산 열연강판도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포스코도 수입산 철강재에 대한 반덤핑 제소를 검토 중이다. 포스코홀딩스는 올해 3분기 실적 발표 컨퍼런스콜에서 “불공정한 무역행위에 대응하기 위해 반덤핑 제소의 필요성 또는 가능성에 대해서 다양하게 검토하고 있다”며 “수입재 범람으로 국내 철강업계의 피해가 심각하다는 점에 공감하고 있다”고 밝혔다.
철강업계가 열연강판에도 반덤핑 제소를 결정한 이유는 국내산과 비교해 가격이 최대 30% 가량 저렴한 수입산 제품이 국내 시장을 휩쓸면서 수익성이 악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철강협회에 따르면 올해 1월~11월 누적 열연강판 수입량은 약 342만7000톤으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중국산과 일본산이 각각 153만톤, 177만톤으로 전체 수입량의 96.2%에 달했다. 올해 1월부터 10월까지 수입된 중국산 후판도 115만7800톤으로 지난해 전체 수입량인 112만2774톤을 넘어섰다.
이에 포스코와 현대제철의 실적은 내리막길을 걷고 있다. 포스코는 3분기 철강 부문 영업이익이 438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9.8% 감소했고, 현대제철의 경우 3분기 영업이익이 515억원으로 77.5%나 쪼그라들었다.
급기야 올해 문을 닫는 공장까지 생겨났다. 포스코는 최근 4개월 동안 공장 두 곳을 전격 폐쇄했다. 지난 7월 포항 1제강공장에 이어 포항제철소 1선제공장의 문을 닫은 것이다. 현대제철도 포항2공장 가동을 중단했다.
반면 동국제강, 세아제강 등 후공정을 하는 중견 제강사들의 경우 관세 부과로 판매 가격이 높아지면 원재료 가격이 상승하는 만큼 반발이 예상된다. 동국제강은 열연강판을 후가공해 컬러강판을 만들고, 세아제강은 강관을 생산하고 있다.
철강업계 관계자는 “중국 철강사들이 자국 건설 경기 침체로 소화되지 못한 철강재를 저렴한 가격에 한국으로 밀어내고, 엔저를 등에 업고 가격을 낮춘 일본산 제품이 수입되면서 피해가 늘고 있다”면서 “불공정무역 행위에 따른 수입산 철강재 규제는 당연히 시행해야 한다”고 말했다.
[CEO스코어데일리 / 박주선 기자 / js753@ceoscore.co.kr]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