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유업계, 1분기 선방…정제마진 약세, 2분기는 ‘주춤’ 전망

시간 입력 2024-05-21 08:50:55 시간 수정 2024-05-21 08:50:55
  • 페이스북
  • 트위치
  • 카카오
  • 링크복사

정유사 수익지표 정제마진, 5월 들어 5달러대로 하락
석유제품 수요 위축·원유 공급량 증가 맞물려

에쓰오일 울산 공장 전경. <사진제공=에쓰오일>

지난 1분기 호실적을 기록했던 정유업계가 2분기에는 다소 부진한 성적표를 받아들 전망이다. 정유업계의 대표적인 수익성 지표로 꼽히는 정제마진이 다시 하향세를 기록하면서다.

20일 하나증권에 따르면, 이달 셋째 주 정유사의 평균 정제마진은 전 주 대비 0.8달러 하락한 5.4달러를 기록했다. 지난 2월 15달러대까지 치솟았던 정제마진은 4월 들어 8달러대로 하락, 이후 내림세를 지속하며 5달러대까지 떨어졌다.

정제마진은 휘발유·경유 등 석유제품에서 원유 가격을 뺀 값으로 정유업계의 대표적인 수익성 지표다. 업계에서는 통상 배럴당 4~5달러를 손익분기점으로 본다.

최근 정제마진이 하락세를 보이는 이유는 국제 유가 상승으로 석유제품 수요가 위축됐기 때문이다. 한국석유공사에 따르면 지난 2월 배럴당 평균 80.88달러였던 두바이유는 4월 89.17달러까지 치솟았다. 정유업계 관계자는 “국제 정세 불안으로 유가가 상승했고, 고유가가 오래 지속되면 석유제품 수요는 감소할 수 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수요가 감소한 반면, 중국·인도 등의 석유제품 수출량이 확대되고, 나이지리아 등 신흥국을 중심으로 신규 정유 설비가 가동을 시작하면서 공급량은 증가한 것으로 파악된다. 전유진 하이투자증권 연구원은 “미국과 인도 정제품 수요가 최근 살짝 흔들리고 있는 반면, 공급량은 전반적으로 증가하는 모습”이라며 “정유는 2분기 정제마진 하락 및 유가 조정으로 쉬어가는 국면”이라고 분석했다.

GS칼텍스 여수 공장 전경. <사진제공=GS칼텍스>

이에 따라 지난 1분기 호실적을 올린 국내 정유업계도 2분기 실적이 다소 감소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국내 정유업계는 지난 1분기 정제마진과 국제 유가 강세에 힘입어 전 분기 대비 실적 반등에 성공했다.

SK이노베이션의 경우, 1분기 석유사업 부문에서 5911억원의 영업이익을 거두면서 전 분기(-1652억원) 대비 흑자 전환했다. 에쓰오일의 정유부문에서 영업이익 2504억원을 올리면서, 전 분기(-3113억원) 대비 흑자전환으로 돌아섰다. GS칼텍스와 HD현대오일뱅크도 정유 부문에서 영업이익 3010억원, 2192억원을 각각 기록했다.

정제마진 약세와 더불어 사우디아라비아의 원유 공식판매가격(OSP) 인상도 정유업계의 부담을 가중시킬 것으로 전망된다. 최근 사우디는 6월 아시아향 OSP를 배럴당 2달러에서 2.9달러로 0.9달러 인상했다. 유안타증권은 에쓰오일의 2분기 영업이익이 3372억원으로 전 분기(4541억원) 대비 26.7% 감소할 것으로 내다봤다.

황규원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2분기 일시적인 정유부문 후퇴가 예상된다”며 “지난해 2분기 완공됐던 나이지리아 정유설비와 쿠웨이트 설비가 올해 1분기 중반부터 양산을 시작했고, 중동산 원유 도입 프리미엄인 OSP가 높아지고 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CEO스코어데일리 / 김은서 기자 / keseo@ceoscore.co.kr]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