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 저축은행 5곳 중 3곳은 연체율 9%대 넘어서
금융지주계 저축은행은 10% 근접한 연체율 기록
중앙회 “구체적 가이드라인 제시 아냐…독려 차원”

저축은행업계의 연체율이 10년 만에 최고 수준까지 오른 가운데, 대형 저축은행과 금융지주계 저축은행의 건전성 지표 또한 악화일로를 걷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당국이 저축은행의 건전성 지표 관리를 또 한 번 독려한 것으로 알려지며 저축은행의 부담도 점차 커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저축은행중앙회에 따르면 자산 기준 상위 5개 저축은행의 1분기 연체율 평균은 7.56%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 동기(7.03%)보다 0.53%p(포인트) 오른 수준이다.
대형 저축은행의 연체율이 상승하고 있는 가운데, 금융당국이 저축은행의 연체율 관리에 칼을 빼들며 비상이 걸렸다. 앞서 금융감독원은 지난 10일 저축은행업계 책무구조도 마련 및 건전성 관리 관련 회의를 개최했다.
이 자리에서 금감원은 올 하반기 건전성 중점 점검 계획을 전달하고 6월 말 연체율 목표치로 7~8%, 하반기 목표 연체율을 5~6% 수준으로 관리해 달라고 주문한 것으로 알려졌다.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뿐만 아니라 가계대출, 개인사업자 등 대출 전반에 적용하도록 지시한 것이다.
대형 저축은행 5곳의 연체율을 살펴보면 SBI저축은행과 애큐온저축은행 등 2곳을 제외한 3곳은 9%대의 연체율을 보이며 당국이 제시한 상반기 관리 수준을 벗어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SBI저축은행의 연체율이 가장 낮았다. SBI저축은행의 올 1분기 연체율은 4.61%로, 전년 동기(5.59%)보다도 0.98%포인트 개선된 수준이다. 뒤이어 애큐온저축은행의 5.72% 수준으로, 전년 동기(5.27%)보다 0.45%포인트 악화됐으나 여전히 낮은 수준을 유지했다.
이밖에 3개의 저축은행은 모두 9%대의 연체율을 보였다. 한국투자저축은행이 전년(7.36%) 대비 1.85%포인트 악화된 9.21%의 연체율을 기록하며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이어 웰컴저축은행 9.20%(전년 대비 1.13%포인트 악화), OK저축은행 9.08%(0.21%포인트 악화) 순이었다.
금융지주계열 저축은행 또한 10%대에 근접한 연체율이 나타나고 있었다. 특히 하나저축은행의 올 1분기 연체율이 10.16%로 가장 높았다. 이어 △NH저축은행 10.12% △KB저축은행 9.51% △신한저축은행 6.98% △우리금융저축은행 6.36% 등의 순으로 집계됐다.
올해 1분기 79개 저축은행의 연체율은 9.00%를 기록했다. 이는 지난해 말(8.52%)보다 0.48%p(포인트) 상승한 수준이다. 이로써 저축은행업권의 연체율은 10년 만에 9%대에 접어들게 됐다.
지난 2015년 9.2%까지 올랐던 연체율은 2016년 5.8%로 떨어졌다. 이후 △2017년 4.6% △2018년 4.3% △2019년 3.7% △2020년 3.3% △2021년 2.5% 등 지속 하락했다. 하지만 2022년 들어 3.4%로 소폭 오르기 시작하더니 △2023년 6.6% △2024년 8.5%까지 오르며 상승폭에 속도가 붙었다. 끝내 올 1분기에는 9.00%를 기록하며 10년 만에 최고 수준으로 오른 것이다.
다만 업계에서는 이미 건전성 관리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는 설명이다. 실제로 저축은행중앙회는 최근 NPL(부실채권)을 전문적으로 관리하는 자회사 ‘에스비엔피엘(SB NPL)대부 주식회사’를 설립했다. 현재는 금융당국에 영업 인가를 신청한 단계로, 이르면 4분기부터 본격적으로 부실채권 매입에 나설 수 있을 것으로 관측된다.
저축은행업계의 한 관계자는 “업계 전반적으로 매각을 진행하고 있고, 중앙회 주도로 NPL 전문회사를 설립하는 등 부실자산 축소를 위해 노력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경기가 악화되는 상황에서 신용대출 연체율이 높아지고, 최근 2년간은 부동산 PF와 관련해 건전성이 지속적으로 악화되고 있는 만큼 당국 차원에서 매각을 조금 더 열심히 하라는 기조로 읽힌다"고 설명했다.
다만 이와 관련 저축은행중앙회는 당국이 저축은행업계에 구체적 가이드라인을 제시한 것이 아니라고 일축했다. 저축은행중앙회 관계자는 “해당 회의는 책무구조도 회의로, 건전 경영을 위해 마련된 자리”라며 “5~6% 수준의 퍼센테이지는 건전성 관리 독려 차원에서 언급된 것일 뿐, 당국에서 구체적인 가이드라인을 제시한 것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한편 금융감독원은 지난달 19일 79개 저축은행 CEO(최고경영자)를 소집해 건전성 개선을 당부하는 것과 함께, 연체율이 높은 10개 저축은행에 대해서는 현장 검사를 착수했다. 이번 조치는 오는 9월 예정된 예금보호한도 상향을 앞두고 저축은행업계의 자산 건전성을 선제적으로 강화하려는 조치로 해석된다.
[CEO스코어데일리 / 이지원 기자 / easy910@ceoscore.co.kr]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