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해·재난 대응 3조원…소상공인·취약층 지원 4조원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가운데)이 15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경제관계장관회의 겸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정부가 당초 발표보다 약 2조원 늘린 총 12조원의 추가 경정 예산안을 마련한다.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15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주재한 ‘경제관계장관회의 겸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회의’ 모두발언에서 “국회, 언론 등의 다양한 의견을 고려해 당초 말씀드렸던 10조원 규모보다 2조원가량 증액한 12조원대 필수 추경안을 편성하겠다”고 이날 밝혔다.
구체적으로 재해·재난 대응에 약 3조원, 통상·AI(인공지능) 경쟁력 강화에 약 4조원, 소상공인·취약계층 지원에 약 4조원을 각각 투입한다는 게 정부의 입장이다.
먼저 최 부총리는 “대규모 재해·재난으로부터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해 3조원 이상을 투자하겠다”며 “재해 대책비를 기존 약 5000억원에서 2배 이상 보강하고, 첨단 장비 도입 및 재해 예비비 등에 2조원 수준을 반영하겠다”고 설명했다.
대형 산불 등에 적극 대응하기 위해 중·대형급 산림 헬기 6대, AI 감시 카메라 30대, 드론 45대, 다목적 산불 진화차 48대 등도 도입키로 했다.
4조원 규모의 통상·AI 지원책과 관련해선 “정책 자금 25조원을 신규로 공급하고, 수출 바우처 지원 기업도 2배 이상 늘리겠다”며 “AI·반도체 등 첨단 산업 관련 인프라·금융·연구개발(R&D) 등에도 2조원 이상 재정 지원을 확대하겠다”고 전했다.
특히 AI 분야에만 1조8000억원을 추가 투입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3000장 이상의 첨단 GPU(그래픽처리장치)를 즉시 공급하고, 연내 1만장도 추가로 확보한다는 방침이다. AI 스타트업 육성을 위한 ‘AI 혁신 펀드’ 규모도 기존 900억원에서 2000억원으로 대폭 늘린다.
정부는 이런 내용으로 추경안을 마련해 조만간 국회에 제출키로 했다.
최 부총리는 “추경은 무엇보다 타이밍이 중요하다”며 “추경안이 최대한 빠른 시간 내 통과될 수 있도록 국회의 초당적 협조와 처리를 간곡히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CEO스코어데일리 / 오창영 기자 / dongl@ceoscore.co.kr]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