딥시크 차단, 국방부·환경부·보건복지부·경찰청 등 정부부처 확산
화웨이, SUV 전기차 ‘아이토(AITO) M7’ 사고로 안전성 논란 제기
미국 상무부, 차량 연결 시스템에 중국 특정 제품 탑재 차량 수입 금지

중국산 AI 플랫폼 ‘딥시크’ 발 보안 논란이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다. 인공지능(AI), 통신장비, 전기차 등 다양한 분야에서 중국 기업들이 빠르게 시장을 넓혀가는 가운데, 정보 유출 및 보안 문제에 대한 불안감이 커지면서 각국 정부와 기업들이 차단조치에 나선 것이다.
6일 정부 및 관련기업에 따르면, 산업통상자원부와 국방부, 외교부가 내부 업무망에서 중국 생성형 AI ‘딥시크(Deepseek)’의 접속을 차단했다. 국방부 관계자는 “딥시크에 대한 기술적 우려가 다수 제기되고 있어 군 업무용 인터넷 PC에 한해 접속 차단 조치를 시행했다”고 밝혔다.
이들 부처 뿐만 아니라 환경부, 보건복지부, 여성가족부, 경찰청, 금융위원회,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문화체육관광부 등도 딥시크 접속을 전면 차단하면서, 사실상 범 정부 차원에서 딥시크 차단 기조가 현실화 되고 있다. 환경부 관계자는 “딥시크의 정보 수집 체계가 챗GPT 등 다른 생성형 AI와 차이가 있어, 정보 유출 방지를 위해 접속을 제한했다”고 설명했다.
이번 조치는 중국 AI 기업 딥시크가 개인정보를 과도하게 수집한다는 논란 속에서, 민감한 업무 정보가 유출될 가능성을 우려한 결과로 풀이된다. 앞서 미국 텍사스주도 정부 소유 기기에서 딥시크 사용을 금지했으며, 이탈리아, 호주, 일본, 대만, 영국 및 유럽연합(EU)도 딥시크의 사용 규제 및 대책 마련을 검토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개인정보위원회가 앞서 지난달 31일 딥시크 본사에 개인정보 수집 절차와 처리 방식 등에 대한 질의서를 보냈지만, 아직 공식적인 회신을 받지 못한 상태다.
카카오와 LG유플러스를 비롯한 민간 기업들도 딥시크 사용 금지령을 내리고 전방위 대응조치에 나섰다. LG유플러스 측은 내부 공지를 통해 “보안 안정성이 확인될 때까지 직원 개인 PC에서도 딥시크 사용을 자제할 것”을 강조했다.
중국 기술 제품과 관련한 정보보안 논란은 이번 딥시크 뿐만 아니라 과거 화웨이 등 중국산 통신장비와 관련해서도 지속적으로 제기돼 왔다.
지난 2012년 미국 하원 정보위원회는 화웨이가 국가 안보에 심각한 위협을 초래할 수 있다고 지적했으며, 이후 2018년 미국과 뉴질랜드 정부는 5G 이동통신망 구축에서 화웨이 장비 사용을 금지했다. 안드루스 안시프 전 유럽연합(EU) 집행위원회 부위원장 역시 “화웨이 같은 중국 기업들의 기술을 경계해야 한다”고 언급했다.

국내 통신사중 하나인 LG유플러스도 중국 통신장비에 대한 검증과 규제 필요성을 두고 논란이 이어졌다. LG유플러스는 지난 2013년부터 화웨이 LTE 장비를 수도권 지역에서 5G 기지국 장비로 활용하고 있다. 화웨이의 보안성 논란이 불거지자 LG유플러스는 화웨이 장비의 보안 취약점에 대한 의혹이 근거 없다고 해명했다. 특히 LG유플러스는 지난 2023년 개인정보 유출 사고가 화웨이 장비 때문이라는 의혹이 제기되자, 연관성이 전혀 없다고 해명했다. 특히, 서울 및 수도권 내 미군 기지가 주둔한 지역에서는 미군측의 요청에 따라 화웨이 장비 대신 다른 업체의 장비를 배치하면서 논란이 가중되기도 했다.
최근에는 전 세계적으로 전기차 시장에서도 중국산 제품에 대한 보안 우려가 커지고 있다. 화웨이가 전기차 기업 ‘싸이리스(Seres)’와 협력해 출시한 SUV 전기차 ‘아이토(AITO) M7’는 지난해 4월 중국 산시성에서 발생한 사고로 탑승자 전원이 사망하면서 안전성 문제가 도마에 올랐다. 해당 차량에는 화웨이 독자 운영체제(OS)인 훙멍(Harmony)이 탑재돼 있으며, 차량의 주요 기능이 이 OS를 통해 작동하는 만큼 보안과 기능적 결함에 대한 의혹이 확산되고 있다.
지난해 1월에는 지나 러몬도 미국 상무부 장관이 미국 싱크탱크 대서양위원회가 주관한 간담회에서 “전기차 및 자율주행차는 운전자 위치, 차량 주변 환경 등 방대한 정보를 수집한다”며 “중국산 전기차가 정보 보안에 위협이 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에 따라, 지난해 9월 미국 상무부는 차량 연결 시스템(VCS)이나 자율주행 시스템(ADS)에 중국·러시아와 연계된 특정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가 탑재된 차량의 수입을 금지하는 규정을 발표했다.
특히 미국을 중심으로 한 서방 진영과 중국·러시아 등의 국가 간 대립이 고착화됨에 따라, 중국 제품의 보안성을 둘러싼 논란은 더 확산될 전망이다. 당장 딥시크발 보안논란이 중국산 AI 기기는 물론 통신장비, 전기차, 가전기기 등에 이르기까지 전방위로 확산될 조짐도 보이고 있다.
실제 최근 중국 가전업체인 샤오미가 국내에 정식 지사를 설립하고 국내 스마트폰, 가전 시장공략을 본격화 하고 나섰다.
국내 IT업계 한 전문가는 “딥시크발 쇼크를 계기로 중국 기업의 시장공략이 본격화 되는 첨단 기술분야를 중심으로 정보보안 논란이 커질 개연성이 크다”고 전망했다.
[CEO스코어데일리 / 진채연 기자 / cyeon1019@ceoscore.co.kr]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