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산업포럼] 안윤기 포스코경영硏 상무 “탄소중립은 산업 대전환, 기준 세워야”

시간 입력 2022-04-20 18:07:42 시간 수정 2022-04-20 18:07:42
  • 페이스북
  • 트위치
  • 카카오
  • 링크복사

포스코의 저탄소 혁신공정 ‘수소환원제철’, 탄소전환 소개
“탄소중립, 위기 아닌 극복과제…점진적 변화로 나아가야”

20일 오후 2시 서울 여의도 전경련회관 컨퍼런스센터 3층 다이아몬드홀에서 열린 ‘2022 CEO스코어데일리 산업포럼’에서 안윤기 포스리(포스코경영연구원) 상무가 ‘포스코의 지속가능 경쟁력 제고 방향’이란 주제로 발표하는 모습. <사진=CEO스코어데일리>

“포스코에게 탄소중립은 완전한 산업 대전환이란 의미와 같다. 이를 위해 정부는 제조업계가 실현 가능한 구체적인 기준·세부계획을 수립해야한다.”

안윤기 포스리(포스코경영연구원) 상무는 20일 오후 2시 서울 여의도 전경련회관 컨퍼런스센터 3층 다이아몬드홀에서 ‘탄소중립과 제조업의 도전’이란 주제로 열린 ‘2022 CEO스코어데일리 산업포럼’에서 이 같이 주장했다.

이번 포럼은 정부의 저탄소 정책과 글로벌 탄소중립 계획에서 대한민국의 제조업계가 탄소배출과 온실가스 저감을 위해 어떤 기술 혁신과 비전을 갖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한 자리였다.

안윤기 상무는 ‘포스코의 지속가능 경쟁력 제고 방향’이란 주제로 포스코의 저탄소 기술 혁신과 제조업계가 요구하는 탄소중립 정책의 방향 등을 제시했다. 또 포스코의 탄소중립 투자, 수소환원제철, 수소사업 등 저탄소 혁신공정과 관련 내용들을 소개했다.

안윤기 포스리(포스코경영연구원) 상무는 "포스코에게 탄소중립은 완전한 산업 대전환이란 의미와 같다. 이를 위해 정부는 제조업계가 실현 가능한 구체적인 기준·세부계획을 수립해야한다"고 말했다. <사진=CEO스코어데일리>

안 상무는 “포스코는 2020년 포스코의 탄소중립 전략을 선언하고 탄소중립 이행에 협력이 가능한 철강 고객사를 중심으로 △완성차 철강에의 탄소중립 프로그램 서명 △탄소비용 보상 △재생 스테인레스(STS) 생산 등 관련 거래 기준을 설정했다”고 밝혔다.

이어 투자가와 투자자의 수익을 전제로 한 기후변화 대응의 투자적격 판단기준을 설정해 포스코의 장기 탄소 감축목표와 이행방안, 이를 통한 경영전략을 설명했다.

안 상무는 “포스코는 탄소배출을 줄이고 탄소사용을 ‘제로’ 수준까지 낮추는 수소환원제철(HyREX) 공정을 개발하고 있다”면서 “철강 제련에 다량 투입되는 전기를 수전해 수소와 신재생에너지로 전환하고, 제품 생산시 배출되는 이산화탄소를 탄소 포집·저장으로 제로화하는 방식”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2030년까지 관련 기술을 개발한 후 단계적으로 공정을 수소환원제철 방식으로 전환할 것이란 계획”이라면서 “조강생산량은 3800만톤 수준을 유지하되 기존 고로·전로 방식의 공정을 전기로 공정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이를 위한 필요 자원에는 그린수소가 연간 최대 370만톤, 이차전지 등 친환경 그린전력은 최대 4GW까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포스코는 수소환원제철용 수소와 미래 수소생태계 구축을 위해 ‘수소 500만톤 생산체제’ 구축을 사업 목표로 설정했다. 2050년까지 수소 생산체제를 구축해 매출 30조원 달성은 물론, 수소용 강재 개발과 부생수소 생산설비 증대, 그린수소 생산기술 개발, 이를 통한 수소 유통인프라를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안 상무는 “실질적인 산업혁명은 탄소중립으로의 산업 대전환이라 본다. 여기에 각 산업들이 핵심 기술을 개발하는 것이며, 그 중 포스코의 과제는 수소환원제철 개발”이라 강조했다.

안윤기 포스리(포스코경영연구원) 상무는 "실질적인 산업혁명은 탄소중립으로의 산업 대전환이라 본다. 여기에 각 산업들이 핵심 기술을 개발하는 것이며, 그 중 포스코의 과제는 수소환원제철 개발"이라 강조했다. <사진=CEO스코어데일리>

그는 이어 “포스코에게 탄소중립은 완전한 산업 대전환을 의미한다”고 강조했다. 탄소중립은 단순 기업의 탄소배출 저감이란 접근법이 아닌, 탄소전환을 통한 공정 등 기존 업종을 완전히 전환해 신산업을 만들고 수소 모빌리티, 수소도시 등 도시개발 전략까지 바뀜이 가능하다고 봤기 때문이다.

그는 “규제 중심의 탄소중립 정책을 벗어나, 탄소 배출권 거래제도를 업종별로 나누거나 철강 등 핵심 15개 전략 산업 기업에게 40%까지 세액 공제를 하는 등 다양한 산업정책을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안윤기 상무는 정부의 현 탄소중립 관련 기준과 척도가 부족해 이로 인한 관련 R&D 지원 및 사업의 지연 등 부작용이 발생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단순 탄소중립 목표치 설정과 같은 급격한 추진보다, 관련 상위법과 적합성 평가 체계, 로드맵 등을 개발해 점진적으로 나아가야 한다”고 관련 기준의 수립을 촉구했다.

[CEO스코어데일리 / 현지용 기자 / hjy@ceoscore.co.kr]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