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다시 국감서는 확률형 아이템…게임업계, 해법 찾을 수 있나

시간 입력 2021-09-28 07:00:04 시간 수정 2021-09-28 10:39:46
  • 페이스북
  • 트위치
  • 카카오
  • 링크복사

엔씨 김택진 대표 국감 증인 채택 여부 '관심'
연초 불매운동·트럭시위에 자율규제 강화…12월 시행 실효성 '물음표'
확률형 아이템만 존재하는 한국식 BM 변화 필요하다는 지적도

게임업계의 확률형 아이템 문제가 또 다시 국정감사 안건에 포함됐다.

확률형 아이템에 대한 게임업계의 자율규제 방침에도 국감에 게임사 대표들을 증인으로 세워 논란이 커지고 있다. 이처럼 게임 확률형 아이템을 둘러싼 논란이 수년 째 이어지고 있어 현재의 게임사 비즈니스모델(BM)을 바꿔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28일 업계에 따르면 다음달 1일부터 3주간 진행되는 국감에 확률형 아이템 문제가 안건으로 채택됐다. 

엔씨소프트 김택진 대표는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증인으로 신청 됐다가 명단에서 제외됐다. 넥슨 창업자 김정주 전 NXC 대표도 강원기 메이플스토리 총괄 디렉터와 함께 정무위원회에서 확률형 아이템 현황에 대해 질의를 받을 예정이다. 

확률형 아이템 문제는 어제 오늘의 문제가 아니다. 2018년 이후 5년 째 국감의 단골소재가 되고 있다.

당시 넥슨이 확률형 아이템 문제로 공정거래위원회로부터 9억원이 넘는 과징금을 부과 받았다. 김택진 엔씨소프트 대표는 국감에 참석해 확률형 아이템이 아이템을 가장 공정하게 사용자들에게 나눠 주기 위한 기술적 장치라고 설명하면서 논란이 커지기도 했다.

올해는 확률형 아이템을 둘러싼 논란이 더 거세지고 있다. 과거와 달리 유저들이 직접행동에 나서면서 확률형 아이템 문제에 직접 대응하고 있기 때문이다. 확률형 아이템 논란으로 주가까지 하락하고 있다.

올해 확률형 아이템 문제가 더 '뜨거운 감자'가 된 것은 연초 확률조작 논란과 이중확률 시스템 '컴플리트 가챠(수집형)'를 도입한 사실이 드러났기 때문이다. 이에 일부 게임 유저들은 게임 유저들이 트럭 사업자를 고용해 물리적 시위까지 벌였다.

이에 한국게임산업협회가 나서 '자율규제 강령안'을 강화하기로 했다. 한 업계 관계자는 "기존과 다르게 유저들이 게임을 분석하는 능력이나 정보력이 증가하면서 확률형 아이템에 대한 반발이 더 거세지고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게임업체들이 자율규제를 강화하고 있지만 논란이 커지는 것은 현재 적용하고 있는 자율규제와 유저들의 체감 사이 괴리가 크기 때문이다.

한국게임정책자율기구에 따르면 8월 31일 기준 자율규제 미준수 게임물에 국내 게임은 하나도 없다. 지난달 전체 준수율도 90%에 가깝다고 평가위는 설명했다.  또 12월부터 새로운 자율규제 강령 개정안이 적용된다. 기존 캡슐형 아이템 외에 강화형, 합성형 아이템의 확률도 자율규제 대상에 포함된다. 또 △적용대상의 범위 확대 및 강화 △확률정보 표시방법 다각화 등의 내용도 들어갈 예정이다.

그러나 엔씨소프트의 신작에도 리니지식 과금시스템이 적용되면서 논란이 더 커지고 있다. 상반기 이미 '트릭스터M'이 리니지와 비슷한 과금방식을 채택했고 '블소2' 또한 과도한 과금을 유도하고 있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이에 업계 일각에서는 주 수익모델인 확률형 아이템 대신 새로운 BM을 도입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이 중 하나가 확정형 아이템을 확대 적용하자는 목소리다. 확정형은 돈을 쓴 만큼 좋은 아이템을 얻을 수 있는 것으로 확률형 시스템과는 운영 방식이 다르다. 펄어비스는 '검은사막 모바일'에 확정형 아이템을 도입해 인기를 끌기도 했다. 

일부 해외 국가들은 확률형 아이템을 도박이라고 간주해 금지하고 있다. 영국은 확률형 아이템을 유사 도박의 일종으로 분류해 도박법의 범주에 넣자는 논의를 진행 중이다. 또 네덜란드와 벨기에는 비디오 게임의 확률형 아이템을 도박으로 간주해 금지하고 있다. 

또 다른 게임업계 관계자는 "확률형 아이템은 재미를 증가시키는 요소이기도 해 무조건 나쁘다고 볼 수는 없다"면서 "다만 확률형 아이템 비중이 전부인 한국식 BM에 변화는 반드시 필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CEO스코어데일리 / 조문영 기자 / mycho@ceoscore.co.kr]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