활기 못 찾는 ESS 시장…작년 신규설치 2018년 대비 60% 불과

시간 입력 2021-08-17 07:00:05 시간 수정 2021-08-15 16:53:52
  • 페이스북
  • 트위치
  • 카카오
  • 링크복사

ESS 화재 이후 설치 급감…한전, 특혜요금 축소로 시장 급랭
산업부·에너지공단, 늦장 대책 마련에 사업자들 참여 외면

한국에너지공단 본사 전경.<사진제공=한국에너지공단>

대표적인 신재생에너지로 꼽히는 에너지저장장치(ESS) 시장이 활기를 찾지 못하고 있다. 2019년 ESS 화재 사고 이후 시장이 얼어붙은 상황에서 정부 지원마저 축소돼 사업자들이 외면하고 있기 때문이다.

17일 국회 예산정책처 자료에 따르면 국내 ESS 신규 설치 건수는 2016년 62건, 2017년 267건, 2018년 985건으로 큰 폭으로 성장하다가 ESS 화재 이후 2019년 472건으로 절반 가까이 줄었고 지난해에도 582건에 그쳤다.

ESS 신규 설치가 줄면서 한국에너지공단(이사장 김창섭)이 ESS 시장 활성화를 위해 사업자에 보조금을 지급하는 융합시스템보급사업 실적도 부진했다.

융합시스템보급사업은 초기 투자비용이 많이 드는 ESS와 에너지관리시스템(EMS) 설치비를 보조해 ESS+EMS 융합시스템의 확산을 유도하기 위해 시행되고 있는 제도다.

에너지공단에 따르면 융합시스템보급사업은 2016년부터 2018년까지 확보한 예산의 평균 95% 이상을 집행했다. 그러나 화재사고가 발생한 2019년은 집행률이 0%를 기록했고 2020년은 50억원 이상의 불용예산까지 남기며 집행률이 43.3%에 그쳤다.

▲ⓒ

ESS 시장이 주춤한 요인으로는 2019년 연이은 ESS 사고가 가장 큰 원인으로 지목된다. 여기에 더해 한국전력(사장 정승일) 마저 2019년 ESS에 적용하던 특혜요금제를 축소하면서 시장이 활기를 찾지 못하고 있다는 분석이 많다.

앞서 한전은 2015년부터 ESS 특례요금제를 도입했다. 한전은 설치사업자들에게 ESS로 줄어든 사용량만큼 기본요금을 할인해 주고 또 야간시간대 ESS충전 요금을 50% 할인해 주는 방식으로 설치 확대를 지원했다. 하지만 한전은 적자 발생 등을 이유로 2019년 ESS 특례요금제 지원 범위를 이전에 비해 1/3로 대폭 낮췄다.

ESS 화재와 한전의 지원 축소로 ESS 설치의 매력도가 떨어지면서 사업자들의 외면하고 있다는 것이 업계의 분석이다.

ESS업계 한 관계자는 “2019년에는 ESS화재 원인에 대한 정부합동조사가 진행되면서 사업승인이 10월까지 미뤄져 신규 ESS 설치가 많지 않았다”며 “지난해의 경우 한전이 특례요금 지원을 기존보다 1/3로 낮추며 설치보조금을 받아도 사업자들은 손해가 날 수밖에 없어 참여율이 떨어진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산업통상자원부와 에너지공단이 화재 사건과 한전의 지원 축소로 ESS 시장이 위축된 상황에서 관련 대책 마련에 소홀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지난해 융합시스템보급사업 예산 약 92억원 중 약 52억원이 집행되지 않아 불용액으로 잡힌 것이 대표적이다.

그나마 정부와 에너지공단은 사업비의 50%이던 융합시스템보급사업 지원금을 올해부터 70%로 높였다.

에너지업계 한 관계자는 “시장이 위축되고 있다는 점을 알면서도 산업부와 에너지공단이 뒤늦게 대응했다”며 “정부가 ESS 설비 확대를 강조했음에도 주무기관들의 한 발 늦은 대처와 안일한 운영으로 50억원 이상의 지원예산만 사라지게 됐다”고 꼬집었다.

[CEO스코어데일리 / 이승현 기자 / shlee4308@ceoscore.co.kr]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