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민에 최소 15만원, 소비쿠폰 지급에 유통업계 ‘희비’

시간 입력 2025-06-23 17:45:00 시간 수정 2025-06-23 17:10:24
  • 페이스북
  • 트위치
  • 카카오
  • 링크복사

대형마트·백화점보다 잘나가는데…‘편의점 몰림현상’ 우려도
긴급재난지원금과 유사…대형마트·SSM 등은 사용 제한 예상

<자료=기획재정부>

정부가 2차 추경을 통해 전국민 대상으로 최소 15만원에서 최대 50만원까지 민생 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하기로 결정했다. 이에 따라 가맹중심의 프랜차이즈 기업들은 반짝 수혜가 예상되지만 대형마트와 SSM(기업형 슈퍼마켓)은 혜택을 받지 못해 어려움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23일 행정안전부는 ‘민생회복 소비쿠폰’ 사업의 차질없는 시행을 위해 ‘범정부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하고 이날 1차 회의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최근 국무회의에서 의결된 추가경정예산안에는 전 국민에게 15만원에서 최대 50만원을 지급하는 내용의 소비쿠폰 사업이 들어갔다.

이에 따라 글로벌 경기 침체 장기화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유통업계도 소비쿠폰 사용 기한인 3개월 간 ‘반짝 특수’를 누릴 것으로 기대감이 번지고 있다.

실제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지난 2020년 신종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때 지급된 긴급재난지원금은 음식점(20%), 마트·슈퍼·식료품점(27%)에서의 사용 비중이 높았다.

다만 같은 유통업계 안에서도 사업 성격에 따라 희비가 갈렸다. 앞서 긴급재난지원금은 대형마트, 백화점, 이커머스, 대규모 프랜차이즈에서 사용이 불가했다. 가맹점에서도 매출액 30억원 이하 업장에 한해서 사용이 가능했다.

대표적인 수혜 업종은 가맹사업 위주인 편의점, 카페 등 식음료 프랜차이즈다.

반면 코로나19 재난지원금 지급 때처럼 대형마트와 SSM은 사용처에 해당하지 못 할 것이 유력한 상황이다.

유통업계 한 관계자는 “경기 불황은 오프라인 중심의 유통 기업들이 나란히 겪고 있는 문제”라며 “특히 대형마트, 백화점과 비교해도 매출이 엎치락 뒷치락하는 편의점으로 소비자 몰림이 벌어질 것이 뻔해 소상공인 보호 차원에서도 사용처가 재규정 될 필요가 있는 것 같다”고 설명했다.

두 차례에 걸쳐 소득 수준 별로 지급되는 이번 소비쿠폰은 현금이 아닌 지역사랑상품권, 선불카드, 신용·체크카드 중 선택해 지급받게 된다. 발행 규모는 역대 최대인 29조원이다. 올해는 숙박, 영화관람, 스포츠, 미술·공연 분야 지원책도 포함됐다.

식품·외식 업계는 소비 부진으로 장기화된 매출 부담이 상당 부분 완화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식당을 운영하는 한 자영업자는 “코로나19 때 재난지원금 지급 이후 한동안 지역 고객 매출이 눈에 띄게 증가했었다”라며 “자영업자들은 하루라도 빨리 소비쿠폰이 지급됐으면 좋겠는 마음”이라고 전했다.

[CEO스코어데일리 / 김연지 기자 / kongzi@ceoscore.co.kr]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