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아, 러시아 판매 목표 다시 설정…시장 재진출 시동 거나

시간 입력 2025-04-14 17:45:00 시간 수정 2025-04-14 16:55:34
  • 페이스북
  • 트위치
  • 카카오
  • 링크복사

2030년 글로벌 시장 판매 목표 중 러시아 5만대 포함
러시아·우크라이나 종전 가능성 커진 국제 정세 반영
러시아 재진출 관심…중국 업체 영향력 확대는 변수

송호성 기아 사장이 지난 9일 서울 중구 신라호텔에서 열린 ‘2025 CEO 인베스터 데이’에서 기아의 중장기 사업 전략과 재무 목표 등을 설명하고 있다.<사진제공=기아>

기아가 최근 중장기 사업 전략 ‘플랜 S’를 구체화하고 글로벌 시장 판매 목표를 수정하는 과정에서 러시아 관련 내용을 포함한 것으로 나타났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취임 이후 러시아·우크라이나 종전 논의가 본격화하면서 현대자동차그룹이 러시아 시장 재진출에 시동을 걸었다는 분석이 나온다.

14일 자동차 업계에 따르면 기아는 지난 9일 서울 중구 신라호텔에서 ‘2025 CEO 인베스터 데이’를 열고 글로벌 시장 판매 목표를 올해 322만대, 2027년 375만대, 2030년 419만대로 설정했다. 2030년 글로벌 시장 점유율 목표는 4.5%다.

기아는 지난해 2030년 글로벌 시장 판매 목표를 430만대로 잡았으나 올해는 중국 판매 부진 영향을 반영해 11만대 하향 조정했다. 기아의 2030년 글로벌 시장 판매 목표는 구체적으로는 북미 111만대, 유럽 77만대, 국내 58만대, 인도 40만대 등이다. 특히 여기에 러시아 판매량 5만대를 포함한 것으로 알려졌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여파로 지난해 공개한 판매 목표에서 빠졌던 러시아 판매량이 올해 다시 포함된 것이다. 미국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이후 러시아·우크라이나 종전 가능성이 커지는 국제 정세를 고려해 사업 전략을 수정한 것으로 보인다.

업계는 대내외 불확실성이 커지는 가운데 현대차그룹의 러시아 재진출이 시장 다변화 측면에서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전망한다.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KAMA)에 따르면 기아와 현대차는 2021년 러시아에서 35만4000대를 판매하며 단일 브랜드 기준 점유율 23.3%로 1위에 오르기도 했다.

러시아 승용차 시장이 우크라이나와의 전쟁 여파로 침체기를 겪다가 회복세를 보인다는 점도 기아로서는 다행스러운 부분이다. 2022년 러시아 신차 판매량은 전년 대비 56.2% 감소한 78만대에 그쳤으나 2023년 131만7000대, 지난해 183만4000대로 증가했다.

현대차 러시아 공장 전경.<사진제공=현대자동차>

이에 따라 현대차그룹의 러시아 시장 재진출 계획에도 관심이 쏠린다.

현대차그룹은 2023년 12월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에 있는 현대차 러시아 공장(HMMR)을 러시아 업체인 아트파이낸스에 매각했다. 2010년 현대차 러시아 공장을 준공한 지 13년 만이다. 당시 매각 금액은 1만루블(약 14만원)로, 현대차 러시아 공장의 장부상 처분 금액(2873억원)을 고려하면 상당히 낮게 책정됐다. 아트파이낸스는 2023년 2월 러시아 모스크바에 등록된 벤처캐피탈이다.

다만 현대차는 매각 후 2년 내 공장을 되살 수 있는 바이백(Buy Back) 조건을 내걸었다. 공장 매각의 실마리가 된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끝난 뒤 재진출 여지를 남겼다는 해석이 나왔었는데, 이 시나리오가 현실화할 가능성이 커진 것이다.

현대차 러시아 공장의 연간 생산량은 약 20만대 규모로 2021년에는 기아 리오 9만2045대, 현대차 쏠라리스 7만1159대, 크레타 7600대가 출고됐다. 기아가 현지 위탁생산 업체인 아브토토르와 라이선스 계약을 맺었던 것처럼 반조립제품(CKD) 생산 기반을 마련할 가능성도 있다.

현대차그룹이 철수해 있는 동안 중국 완성차 업체들의 러시아 시장 영향력이 커진 점은 변수가 될 수 있다. 러시아 자동차 시장 내 중국계 브랜드 판매량은 2021년 12만841대에서 지난해 93만6684대로 급증했다. 이 기간 시장 점유율은 8.1%에서 60.4%로 확대됐다.

KAMA 관계자는 “비용, 정책 변화, 시장 점유율 등을 고려해 진입 전략을 신중하게 수립할 필요가 있다”면서 “러시아 정부의 산업 정책 변화와 서방 제재 등에 따라 대응 방향이 달라질 수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CEO스코어데일리 / 김병훈 기자 / andrew45@ceoscore.co.kr]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