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사원 주최 ‘2025년도 자체 감사 책임자 회의’서 우수 사례 발표

한국전력 본사. <사진=연합뉴스>
자체 감사 우수 역량을 대외적으로 인정 받은 한국전력(한전)이 감사 활동 성과·노하우 등을 공유하고 나섰다.
한전 감사실은 지난달 28일 감사원이 주최한 ‘2025년도 자체 감사 책임자 회의’에서 ‘데이터센터 전기 공급 실태 특별 감사’의 성과와 감사 활동 노하우 등을 발표했다고 11일 밝혔다.
앞서 한전 감사실은 ‘2024년 자체 감사 사항 콘테스트’에서 데이터센터 전기 공급 실태 특별 감사로 최고 영예인 ‘대상’을 수상했다. 이에 역대 최초로 4대 감사기관(감사원, 국민권익위원회, 한국감사협회, 한국공공기관감사협회)으로부터 모두 대상을 받는 골든 그랜드 슬램을 달성했다.
최근 데이터센터를 건설하거나 운영할 계획이 없는 부동산 개발업자들이 미리 전기 공급 승인을 받은 후, 해당 부지를 매매해 최소 3배 이상의 이익을 취하려는 목적으로 무분별하게 전기 공급을 신청하는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했다.
이에 전영상 한전 상임감사위원은 한전에서 수립하는 장기 송변전 설비 계획에 데이터센터 전력 수요가 과다하게 반영되고, 그에 따른 한전의 전력 설비 건설 비용 상승은 전기요금 인상요인으로 작용하게 돼, 결과적으로 국민 편익 저하, 건전한 디지털 산업 발전 저해 등 국가 전체적인 비효율을 양산할 우려가 있다고 봤다. 이어 현 실태를 정확히 진단하기 위해 데이터센터 전기 공급 실태 특별 감사를 지시했다.
감사 결과, 2020년 1월부터 2023년 2월까지 한전에 접수된 데이터센터 전기 사용 예정 통지 1001건 중 실수요 목적이 아닌 부동산 개발 이익 목적의 허수 신청은 무려 67.7%(678건)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토대로 한전 감사실은 허수가 대량 포함된 데이터센터 전력 수요 자료가 정부에 제공돼 국가적인 전력 수요 예측의 정확성이 결여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담당 부서에 데이터센터 허수 수요를 제외하는 방안을 고안했다. 또 데이터센터 전력 수요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정부측에 제공하도록 개선을 요구했다.
또한 한전 감사실은 한전 내부 감사 조치 요구에만 그치지 않고, 감사 결과 확인된 데이터센터 관련 사회적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데이터센터 허수 신청을 원천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전기사업법 개정’을 건의했다. 아울러 데이터센터 지역 분산 활성화를 위한 ‘데이터센터 설립 권장지구 지정’과 ‘데이터센터 연관 산업 클러스터 구축’, ‘부동산 투기 제한 조치 병행’ 등 정책 방안도 정부에 제안했다.
데이터센터 전기 공급 실태 특별 감사의 성과는 상당한 것으로 파악됐다. 한전 감사실은 이번 감사를 통해 약 117조원의 전력 설비 과잉 투자 발생 가능성을 사전에 차단하는 성과를 거뒀다고 평가했다.
전 상임감사위원은 “이번에 데이터센터 전기 공급 실태 특별 감사에 대한 성과를 많은 기관과 공유할 수 있게 돼 기쁘게 생각한다”며 “감사원에서 마련한 자체 감사 운영 지침을 바탕으로 앞으로도 공정과 상식, 합리적 판단과 원칙에 기반한 감사를 지속적으로 시행하고, 국민에게 신뢰받는 한전을 만들어 나가겠다”고 밝혔다.
[CEO스코어데일리 / 오창영 기자 / dongl@ceoscore.co.kr]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