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부·외교부·산업부, 외부 접속 가능 PC에 ‘딥시크’ 접속 차단
행안부, 생성형 AI 사용시 개인정보 입력 금지 등 관리 주의 강조
카카오·LGU+ 등 민간 기업도 ‘딥시크’ 사용 제한

중국 인공지능(AI) 서비스 ‘딥시크(Deepseek)’가 이용자 데이터를 과도하게 수집한다는 논란이 커지는 가운데, 국내 정부 부처와 주요 기업들이 앞다퉈 딥시크 접속을 제한하거나 금지하고 나섰다.
6일 복수의 정부 관계자들에 따르면 국방부와 외교부, 산업통상자원부는 외부 접속이 가능한 정부 부처용 컴퓨터에서 딥시크 접속을 차단했다. 국방부 관계자는 “딥시크에 대한 대내외의 기술적 우려가 다수 제기되고 있어 군 업무용 인터넷 PC에 한해 접속 차단을 조치했다”고 밝혔다.
또 다른 부처 관계자 역시 “외부 접속이 가능한 컴퓨터에서 딥시크 주소로 접속하려고 하면 접속이 제한된다는 안내가 나온다”며 “민감한 외교·안보·통상 분야에서 기밀 유출 가능성을 막기 위한 조치”라고 전했다.
정부 차원의 ‘생성형 AI’ 관리 강화 움직임도 본격화하고 있다. 앞서 행정안전부는 전날 중앙부처와 17개 광역지방자치단체에 딥시크와 챗GPT 등 생성형 AI를 사용할 때 개인정보를 입력하지 말고, AI가 내놓은 결과물을 무조건 신뢰해서는 안 된다는 취지의 공문을 보냈다. 행안부 관계자는 “공문에는 딥시크와 챗GPT 등 생성형 AI를 업무에 활용할 때 주의해야 할 기본 수칙을 담았다”고 설명했다. 다만 이 공문에서 특정 AI 서비스만을 콕 집어 사용 제한을 지시한 것은 아닌 것으로 알려졌다.
딥시크는 AI 학습 과정에서 이용자의 기기 정보, IP, 키보드 입력 패턴 등 방대한 양의 데이터를 과도하게 수집한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호주·일본·대만 등 여러 국가가 이미 딥시크 사용을 제한하거나 규제하는 대열에 합류했으며, 이탈리아의 경우 앱 마켓에서 전면 차단한 상태다.
개인정보보호위원회는 최근 딥시크 본사에 개인정보 수집 항목 및 처리·보관 방식 등을 확인하기 위한 질의서를 발송했지만, 아직까지 답변을 받지 못했다. 업계 관계자는 “중국산 AI 모델에 대한 불신도 큰 상태여서, 기업들이 보안을 이유로 딥시크 활용을 금지하는 사례가 늘 것”이라고 전했다.
국내 민간 영역에서도 딥시크 사용 제한 움직임이 가시화되는 모습이다. 오픈AI와 공식 파트너십을 발표한 카카오는 최근 사내 공지를 통해 “딥시크의 사내 업무 목적 이용을 금지한다”고 밝혔다. 카카오는 딥시크가 중국 내 서버에 사용자 정보를 폭넓게 저장하고 있다는 점에서 보안 문제가 심각하다고 판단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는 국내 대형 정보기술(IT) 기업 중 딥시크 사용 금지를 공식화한 첫 사례다.
LG유플러스도 같은 날 임직원에게 정보보안 안내문을 공지하고, 사내망에서 딥시크를 업무용으로 활용하지 말도록 지시했다. 공지문에는 “딥시크 보안 안정성이 확인될 때까지는 개인 PC를 통한 사용도 자제하는 편이 좋다”는 권고사항이 담겼다.
삼성전자, SK, LG전자 등 주요 대기업들도 이미 사내 업무용 PC에서 허가되지 않은 외부 프로그램 사용을 금지하거나 자체 개발한 생성형 AI를 활용 중이다. 원전 기술을 다루는 한국수력원자력 역시 지난 1일 사내 업무망에 ‘중국 AI 서비스 딥시크 사용 금지’ 공문을 게시하고, 기존에 챗GPT도 업무용으로 사용하지 못하도록 했다.
한편, 전 세계 각국 정부는 딥시크의 위험성을 경계해 각종 대응에 나서고 있다. 호주, 일본, 대만, 미국 텍사스주 등은 정부 소유 기기에서 딥시크 사용을 금지하고 있으며, 이탈리아는 아예 앱 마켓에서 딥시크를 차단했다. 영국과 유럽연합(EU) 소속 국가들도 딥시크로 인한 위험 요인을 면밀히 지켜보며 대책 마련을 검토 중이다.
[CEO스코어데일리 / 김동일 기자 / same91@ceoscore.co.kr]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