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항공·아시아나 보유 항공기만 248대…올해 22대 더 들여온다

시간 입력 2025-02-04 17:48:22 시간 수정 2025-02-05 08:15:58
  • 페이스북
  • 트위치
  • 카카오
  • 링크복사

지난해 말 국내 항공사 보유 항공기 416대…역대 최대
대한항공·아시아나, 국내 항공사 전체의 59.7% 차지
대한항공, 올해 B787-9·10 11대 포함 21대 도입 계획

대한항공 A350-900 항공기.<사진제공=대한항공>
대한항공 A350-900 항공기.<사진제공=대한항공>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이 보유 중인 항공기가 248대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항공사들이 보유하고 있는 항공기 수의 60%에 해당하는 수준이다.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은 올해 22대의 항공기를 신규 도입해 기단 현대화에 더욱 속도를 낸다.

4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이연희 의원이 국토교통부와 한국항공협회를 통해 국내 항공사 12곳으로부터 제출받은 ‘항공기 보유 현황 및 도입 계획’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이들 항공사는 여객기 374대, 화물기 42대 등 총 416대를 운용한 것으로 집계됐다.

2023년 393대(여객기 353대·화물기 40대)와 비교해 23대 늘어난 것으로, 국내에 민간 항공기가 처음 등록된 1977년 이래 최대치다. 국내 항공기는 매년 꾸준히 증가해 2015년 300대를 넘겼고, 2019년 414대까지 늘었다가 코로나19 여파에 2020년 389대로 처음 줄었다. 2021년에는 366대까지 감소했다가 2022년 370대를 기록한 이후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국내 항공업계 맏형인 대한항공이 지난해 말 165대(여객기 142대·화물기 23대)로 가장 많은 39.7%를 차지했다. 아시아나항공은 83대(여객기 70대·화물기 13대)로 20%의 비중을 기록하며 뒤를 이었다. 두 항공사의 보유 항공기를 합하면 248대로, 국내 항공사 전체의 59.7%에 육박한다.

국내 LCC 업계 1위인 제주항공은 41대(여객기 39대·화물기 2대)로 9.9%를 차지했다. 지난해 12월 29일 무안공항 사고로 소실된 B737-800 1대도 포함된 수치다. 여객기만 운용하는 티웨이항공은 38대로 9.1%의 비중을 기록했다. 진에어와 에어부산은 각각 31대(7.5%), 21대(5%)를 보유했다. 이 중 에어부산의 A321-200 1대는 지난달 28일 김해공항 화재 사고로 소실됐다.

또 다른 LCC인 이스타항공은 여객기 15대(3.6%)를, 에어서울·에어로케이·에어프레미아는 각 여객기 6대(1.4%)씩을 보유했다. 화물 전용 항공사인 에어인천은 화물기만 4대(1%) 운용했다. 신생 항공사인 파라타항공(옛 플라이강원)은 지난해 말 기준 보유한 항공기가 없었다.

아시아나항공 A321NEO 항공기.<사진제공=아시아나항공>
아시아나항공 A321NEO 항공기.<사진제공=아시아나항공>

국내 항공사들은 올해 총 54대의 항공기를 신규 도입하고, 38대의 노후 항공기 등을 처분할 방침이다. 이에 따라 올해 말 항공사들의 보유 항공기는 총 432대로 늘어날 전망이다.

대한항공은 B787-9·10 11대와 A350-900 1대 등 21대를 도입하고, 12대를 처분할 계획이다. 지난달 27일에는 에어버스의 A350-900 1·2호기를 인천~오사카·후쿠오카 노선에 처음 투입했다. 이에 앞서 A350-900의 안전한 운항을 위해 베테랑 운항승무원을 별도 선발하기도 했다. 향후 A350-900과 A350-1000 등 A350 계열 항공기를 순차적으로 도입할 계획이다.

대한항공 관계자는 “정상 운항 상황뿐만 아니라 실전을 방불케 하는 고강도의 비정상 상황 대처 훈련으로 절대 안전 운항이라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하고 있다”고 말했다.

아시아나항공은 A321-200 1대만 도입하고, B747-400 화물기 등 18대를 처분해 보유 대수가 17대 줄어들게 된다. 이는 올해 상반기 에어인천에 화물사업부 매각을 마치는 데 따른 것이다.

한편 국내 항공사들의 보유 항공기 중 총 63대는 제작된 지 20년이 넘어 국토부의 특별 관리 대상인 ‘경년 항공기’로 분류됐다. 대한항공 31대, 아시아나항공 15대, 진에어 6대, 제주항공 5대, 에어인천 4대, 에어부산 2대 등이다.

[CEO스코어데일리 / 김병훈 기자 / andrew45@ceoscore.co.kr]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