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L이앤씨‧SK에코‧HDC현산 사옥 이전 추진...임대료 절감하고 사업 시너지 높인다

시간 입력 2025-01-06 17:45:00 시간 수정 2025-01-06 17:05:31
  • 페이스북
  • 트위치
  • 카카오
  • 링크복사

DL이앤씨, 올 하반기 마곡지구 ‘원그로브’ 본사 이전 추진
SK에코플랜트 2027년, HDC현대산업개발 2028년 이전 계획
“도심업무지구 임대료 많이 올라…외곽 이전으로 임대료 효율화”

마곡 원그로브 전경 사진. <사진제공=태영건설>

DL이앤씨와 SK에코플랜트, HDC현대산업개발이 비교적 서울 외곽으로 사옥 이전을 추진한다. 사업 시너지를 올릴 수 있는 동시에 임대료를 절감을 통한 비용효율화를 이루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6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DL이앤씨는 올해 하반기 서울 강서구 마곡지구 ‘원그로브’로 본사를 이전할 계획이다. 이는 2020년 종로구 평동 ‘돈의문 디타워’에 입주한 후 약 5년 만이다.

DL이앤씨는 지주사인 DL(주)은 지난 11월 돈의문 디타워를 NH농협리츠운용에 8953억원에 매각했다. 돈의문 디타워는 2020년 마스턴투자운용이 펀드를 조성해 매입한 것으로, 당시 DL이앤씨는 주요 투자자로 매입에 참여했다. DL이앤씨는 이번 매각을 통해 약 1300억원을 확보했다.

DL 측은 “이번 매각으로 발생한 현금 유입으로 재무 건전성이 더욱 안정적으로 관리될 것으로 기대된다”며 “지난해 3분기 연결기준 영업이익(1214억원)을 고려하면 1개 분기의 영업이익에 해당하는 현금을 확보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DL이앤씨는 올해 말 돈의문 디타워 임대차 계약 만료를 앞두고 있다. DL이앤씨는 임대차 계약 2년 연장을 통해 잔류가 가능했으나, 올해 하반기 이전을 추진 중이다. 업계에서는 임대료 절감을 위한 움직임으로 보고 있다. 다만 원그로브 임대료는 대외비로 알려지지 않았다.

DL이앤씨가 입주하는 원그로브는 마곡도시개발사업구역 내 CP4에 위치해 있다. 원그로브는 지난해 10월 26일 태영건설이 준공한 업무‧상업 복합시설이다. 연면적 46만3098㎡이며 지하7~지상 11층, 4개 동으로 이뤄져 있다.

DL이앤씨 관계자는 “마곡에 새로운 대규모 업무지구가 조성되고 여러 기업이 입주하고 있어 원그로브를 선택한 것”이라고 말했다.

SK에코플랜트도 2027년 하반기 영등포구 양평동 4가 1-1번지 일원 오피스 빌딩으로 본사를 이전할 계획이다.

해당 빌딩은 SK에코플랜트가 시공을 맡은 곳으로, 2027년 준공 예정이다. SK에코플랜트는 시행사인 LB자산운용과 선임대차계약을 체결했다. LB자산운용은 지난해 12월 말 SK디앤대로부터 2200억원에 부지를 매입했다.

SK에코플랜트는 현재 종로구 수송동 일대 수송스퀘어 일부를 임차해 사용 중이다. SK에코플랜트는 본사 이전 시, 수송동 사옥 인근 사무실을 사용 중인 자회사 SK에코엔지니어링과 함께 둥지를 옮길 계획이다.

SK에코플랜트는 SK에코엔지니어링과 통합 사옥을 구축해 시너지를 내겠다는 계획이다. SK에코엔지니어링은 지난 2023년 SK에코플랜트가 자회사로 편입한 회사다.

SK에코플랜트 관계자는 “통합 사옥 구축을 통해 업무 시너지가 창출되고 비용 효율화를 실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며 “약 2000여명의 근무 인원이 이전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광운대역세권개발사업 내 서울원아이파크 투시도. <사진제공=HDC현대산업개발>

HDC현대산업개발은 2028년까지 서울 노원구 광운대역세권으로 본사 이전을 추진 중이다. 현재, HDC현대산업개발 사옥은 서울 용산구 용산역 아이파크몰에 위치해 있다.

HDC현대산업개발은 현재 본사를 이전하려고 하는 광운대역세권에 자체 사업 ‘서울원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다. 이곳에 HDC현대산업개발 사옥이 들어설 경우, 서울 동북권에서는 처음으로 대기업 본사가 들어서게 되는 것이다.

건설사들이 비교적 서울 외곽으로 본사를 이전하는 것은 값비싼 임대료 때문이라는 분석이 제기된다. 한 건설사 관계자는 “도심권역 오피스 임대료가 많이 올랐다”며 “본사가 도심 업무지구를 벗어나게 되면 그만큼 임대료 효율화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CEO스코어데일리 / 박수연 기자 / dduni@ceoscore.co.kr]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