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변하는 디지털·AI 환경서 우리 기업 해외 진출 등 대응 방안 모색
“트럼프 행정부, 주도권 확보 나설 듯…한, 국제 규범 논의 참여해야”

산업통상자원부 정부세종청사. <사진=연합뉴스>
정부가 빠르게 변화하는 디지털·AI(인공지능) 환경에서 우리 기업들의 글로벌 경쟁력 제고 방안을 모색하고 나섰다.
산업통상자원부(산업부)는 17일 서울에서 ‘제5차 디지털 통상 대응반’ 회의를 개최했다고 이날 밝혔다.
이번 회의에는 디지털·AI 관련 기업과 유관 기관, 학계 전문가 등이 참석했다.
디지털 통상 대응반은 글로벌 디지털 통상 현안을 논의하는 민·관 협의체로, 그간 유럽연합(EU) 디지털 입법 영향, 한·EU 디지털 통상 협상 추진의 방향성 등에 대해 논의해 왔다.
이주형 서울시립대 교수는 이날 ‘미국 신행정부의 AI 정책 전망 및 국제 규범 현황’ 발표에서 “트럼프 2기 행정부가 세계 주도권 확보를 위해 국제 표준과 규범 형성에 적극적으로 나설 것으로 예상된다”며 “한국 정부도 관련 국제 규범 논의 등에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아울러 업계 관계자들은 디지털 기업의 해외 진출을 위해 디지털 통상 협정 추진 외에 협력 사업 추진도 필요하다고 정부에 제안했다. 이들은 “산업부는 AI 등 신기술 분야의 주요국 정책 및 규범 동향을 산업계와 주기적으로 공유해 주길 희망한다”고 강조했다.
심진수 산업부 신통상전략지원관은 “디지털 통상은 글로벌 경제 전반의 새 패러다임으로 자리 잡고 있다”며 “관련 기술과 주요국 정책도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정부는 우리 디지털 기업의 글로벌 시장 진출을 지원할 수 있도록 관련 통상 이슈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겠다”고 덧붙였다.
[CEO스코어데일리 / 오창영 기자 / dongl@ceoscore.co.kr]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