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이 윤석열 대통령 퇴진을 요구하며 무기한 총파업을 결의한 가운데 주요 하급 단체인 현대차지부 등이 이에 동참하면서 완성차 업계가 혼란에 빠졌다.
5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차 노조는 ‘정권 퇴진 운동’에 나선 민주노총 산하 금속노조의 지침에 따라 이날부터 이틀간 부분파업에 돌입한다. 조합원 4만3000여명을 둔 현대차 노조는 민주노총 금속노조의 최대 하급 조직 중 하나다.
앞서 금속노조는 윤 대통령이 퇴진하지 않으면 오는 11일부터 무기한 전면파업에 나선다는 지침을 마련했다.
현대차 노조는 이틀 동안 오전 근무조(1직)와 오후 근무조(2직)가 매일 각 2시간, 총 4시간 파업을 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오전 근무조 조합원들은 오후 3시 30분인 퇴근 시간보다 2시간 먼저 귀가했다. 오후 출근조는 출근 시간을 오후 3시 30분에서 5시 30분으로 늦췄다.
한국지엠(GM)지부도 금속노조 지침에 따라 부분파업에 나서기로 했다. 한국GM 노조는 이날부터 이틀간 전반조와 후반조가 2시간씩 총 4시간 파업을 하기로 했다.
전반조는 오후 1시 40분부터, 후반조는 오후 10시 20분부터 2시간씩 일을 쉬고 윤 대통령 퇴진 집회에 참여한다. 생산직 주간조와 사무직도 이날 오후 3시부터 5시까지 파업에 참여하기로 한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같은 금속노조 소속인 기아는 파업에 참여하지 않는다.
현대차와 한국GM 등 완성차 업체들의 부분파업에 앞서 철도노조도 무기한 총파업에 나서 제조업 현장 혼란은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철도공사(코레일) 노조인 전국철도노동조합(철도노조)은 이날 오후 9시를 기해 무기한 총파업에 들어갔다. 철도노조가 파업하는 건 지난해 9월 이후 1년 3개월 만이다.
코레일 노사는 지난 8월부터 4개월 동안 총 17차례 교섭을 진행한 데 이어 전날 오후 막판 협상을 벌였으나, 큰 견해차로 최종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
노사는 4조 2교대 근무 체계 개편과 인력 충원 문제는 어느 정도 의견을 모았다. 하지만 노조가 요구한 기본급 2.5% 인상과 성과급 지급 방식 개선 문제 등에서는 입장차가 컸던 것으로 전해졌다.
여기에 노조는 코레일 2급 이상 직원의 임금을 올해부터 내년까지 2년에 걸쳐 동결하라고 요구하고 있다.
한편 국토교통부는 철도노조 파업에 따른 국민 불편 최소화를 위해 지난 4일 오전 9시부터 비상 수송대책을 가동했다. 코레일도 비상근무 체계에 돌입한 상태다.
이를 통해 평소 대비 열차 운행률은 수도권 전철 75%(출근 시간대 90∼95%·퇴근 시간대 85%), KTX 67%, 새마을호 58%, 무궁화호 62%로 유지할 계획이다. 화물열차는 수출입 화물, 산업필수품 등 긴급 화물을 위주로 22% 수준을 유지한다.
[CEO스코어데일리 / 김병훈 기자 / andrew45@ceoscore.co.kr]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