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일 중소기업 현장 간담회
밸류업 프로그램 적극적인 참여 당부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7일 “담보, 보증에 의존하는 구태의연한 대출 방식 대신 여신심사 시스템 고도화 등을 통해 기술, 혁신성 등 기업의 미래를 감안한 대출이 확대되도록 지속적으로 유도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 원장은 이날 서울 영등포구 중소기업중앙회에서 ‘중소기업과 소통 및 협력 강화를 위한 간담회’를 열고 “중소기업금융의 실태를 보면 신용보다는 담보와 보증에 크게 의존하는 현상이 고착화돼 있는 상황”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이 원장은 가계대출과 부동산 금융이 확대되는 반면 기업에 대한 생산적 금융은 위축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은행의 중기대출 중 담보·보증 비중은 2015년 말 66.7%에서 2022년 말 79.2%, 2024년 9월 말 80.7%로 확대됐다.
이 원장은 “설령 중소기업이 기술력과 성장잠재력을 인정받았다고 하더라도 담보 없이는 원활히 자금을 공급받기 어려울 것”이라며 “금융당국은 금융권이 스스로 성장성 있는 중소기업을 발굴하고 필요한 자금을 지원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데 최선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 원장은 정부가 추진 중인 밸류업 프로그램에 대한 중소기업의 적극적인 참여도 당부했다.
그는 “밸류업 프로그램의 주요 목적은 잠재력 있는 중소기업이 자본시장을 통해 성장가능성을 제대로 평가받아 한 단계 도약하는 계기를 제공하는 것”이라며 “상장 중소기업이 주주나 이해관계자들과 소통하면서 장기적으로 기업가치를 제고시킬 수 있는 밸류업 프로그램에 적극 참여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어려운 경제상황에서 힘들어 하는 중소기업에 대한 지원도 충실히 추진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복현 금감원장은 “일시적으로 유동성 애로를 겪고 있지만 정상화가 가능한 기업의 경우에는 은행들의 자체 채무조정을 적극 유인함으로써 위기를 극복하고 재기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며 “폐업을 결정한 자영업자의 고통이 최소화되도록 개인사업자 리스타트 대출 등 대환대출 지원상품도 신속히 마련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CEO스코어데일리 / 김기율 기자 / hkps099@ceoscore.co.kr]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