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력·용수 등 핵심 기반 시설 및 특화단지 구축
금융·세제 지원 통해 150조원 민간 투자 촉진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가운데)이 29일 국회 열린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전체 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산업부) 장관이 반도체 등 첨단 산업의 초격차 역량 강화에 앞장서겠다고 약속했다.
안 장관은 29일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산자위) 전체 회의에 출석했다.
이 자리에서 안 장관은 “반도체 등 첨단 산업을 중심으로 미·중 기술 경쟁이 심화하고, 세계 각국이 자국 산업 보호와 공급망 재편을 가속하고 있다”고 우려했다.
이어 “첨단 산업을 둘러싼 글로벌 경제 패권 경쟁에 대응해 우리나라가 산업 강국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정책 지원에 집중하겠다”며 “무엇보다도 첨단 산업 초격차 역량을 강화하겠다”고 강조했다.
안 장관은 “신속하게 전력·용수 등 기반 시설과 (첨단 산업) 특화단지를 구축하고, 소재·부품·장비(소부장) 등 성장 생태계 조성과 맞춤형 금융·세제 지원으로 150조원 민간 투자 달성을 촉진하겠다”고 공언했다.
앞서 정부는 지난해 7월 3대 핵심 전략 산업인 반도체·이차전지·디스플레이 분야 초격차 확보를 위해 세계 최대 반도체 클러스터 조성이 예정된 경기 용인·평택 등 7곳을 국가 첨단 전략 산업 특화단지로 지정한 바 있다.
정부는 반도체 등 첨단 산업 생태계 전반 활성화에 정책적 지원을 아끼지 않는다는 구상이다. 일례로 특화단지를 신속하게 조성하고 생산 시설의 가동 차질을 예방하기 위해 예비타당성조사(예타) 면제 등을 적극 추진키로 했다. 이에 전력·용수 등 기반 시설 구축에 속도를 올릴 예정이다.
안 장관은 AI(인공지능)의 산업 활용 중요성도 강조했다. 산업부는 올해 5월 ‘AI 자율 제조 전략 1.0’을 발표하고, AI를 로봇, 장비 등과 결합해 제조 현장의 생산성·안전성·환경성을 획기적으로 높이겠다는 목표를 세운 바 있다.
안 장관은 “글로벌 AI 경쟁 심화에 대비해 AI 시대 우리 산업의 제조·기술 방향을 제시하고, 국회와 함께 AI산업활용촉진법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CEO스코어데일리 / 오창영 기자 / dongl@ceoscore.co.kr]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