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저축은행 1분기 3개월 이상 연체 대출 2%P 가까이 급증 … 건전성 관리 ‘비상등’

시간 입력 2023-06-08 07:00:03 시간 수정 2023-06-08 07:05:23
  • 페이스북
  • 트위치
  • 카카오
  • 링크복사

3개월 이상 연체 대출 비율 4.87%…전년 동기 대비 1.83%p↑
저축은행 업계 연체율 5%…자산건전성 악화
금융당국, 연체 채권 매각 유연화 방안 검토

지난 1분기 자산 규모 상위 10대 저축은행의 부실대출 비율이 증가했다. 

경기 악화로 차주의 상환능력이 크게 후퇴한 탓이다. 주요 저축은행들의 자산건전성 악화에 금융당국도 촉각을 곤두세우고 나섰다.  연체 채권 시장 매각을 통해 일단 급한 불부터 끄도록 하겠다는 게 금융당국 방침이다.

8일 저축은행중앙회에 따르면 대형 저축은행 10곳(SBI·OK·한국투자·웰컴·페퍼·애큐온·다올·상상인·모아·OSB)의 고정이하여신(NPL) 비율은 4.87%로 전년 동기 대비 1.83%포인트 증가했다.

NPL 비율은 총 여신 중 3개월 이상 연체된 부실대출이 차지하는 비중을 나타내는데 이 비율이 높을수록 돌려받지 못할 대출이 늘어나 자산건전성이 악화했다고 판단한다.

저축은행별로 보면 상상인저축은행의 NPL 비율이 2022년 1분기 2.68%에서 올 1분기 8.11%로 5.43%포인트 늘어 증가폭이 가장 컸다. OSB저축은행 역시 2.73%에서 7.13%로 4.4%포인트 증가해 뒤를 이었다.

저축은행 업계 1위인 SBI저축은행은 전년 동기 대비 1.33%포인트 늘어난 3.78% 기록했다. 이밖에 웰컴저축은행과 페퍼저축은행 역시 올 1분기 각각 6.83%, 6.61%를 기록해 평균 NPL 비율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건전성 후퇴 요인은 고금리·고물가 등 영향 탓이 크다. 경기 부진 속에 저축은행의 주 고객층인 중·저신용 차주의 상환능력이 뒷걸음질 치면서 빚을 제때 갚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하자 동반 악화한 것으로 보인다.

실제 지난달 초까지 상환조건을 변경해 채무자의 재기를 지원하는 채무조정제도 신청 건수도 대폭 늘었다.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윤영덕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신용회복위원회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1월부터 지난달 초까지 채무조정 신청 건수는 6만3375건으로 2022년 전체 신청 건수(13만8344건)의 45.8%에 달한다.

저축은행 전반적으로 연체율 역시 급증하는 추세이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1분기 저축은행의 연체율은 5.07%로 전년 동기 보다 1.66%포인트 늘었다. 이는 은행(0.33%)나 상호금융(2.42%), 카드사(1.53%)에 견줘 3%포인트 이상 높다.

저축은행의 여신 건전성 여건이 크게 악화하자 금융당국에서는 개인 무담보대출 대상 연체 채권을 시장에 매각하는 방안을 검토하는 중이다. 금융당국은 2020년부터 저축은행에서 발생하는 연체 채권을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에 의무적으로 매각하도록 하고 있다.

다만 코로나19 취약차주 대출 증가와 함께 경기 악화로 연체 채권 증가 속도가 가팔라지면서 연체채권 매각으로 소화하기에 무리가 있다는 지적이 잇따랐다.

금융당국은 해당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캠코 이외에도 자산유동화전문회사(SPC)에 부실 채권을 매각하는 방안을 마련한다는 방침이다.

한 업계 관계자는 “NPL비율이나 연체율이 지난해와 비교해 크게 상승한 건 맞지만 손실흡수능력도 함께 확충하고 있어 우려할 상황은 아니다”면서 “연체채권 매각이 예전보다 자유로워지면서 건전성 관리도 더 용이해질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CEO스코어데일리 / 안은정 기자 / bonjour@ceoscore.co.kr]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