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지난 10월 대규모 통신 장애를 일으킨 SK㈜ C&C와 카카오, 네이버 3사에 대해 개선조치와 향후 계획을 요구했다.
6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방송통신위원회, 소방청과 함께 SK C&C 판교 데이터센터 화재 및 카카오·네이버 등 부가통신서비스 장애에 대한 조사 결과를 발표하고, 한달내로 주요 사고원인에 대한 개선하고 향후 계획을 수립해 보고토록 했다.
먼저, SK C&C에는 데이터센터 화재 예방 및 탐지, 전력공급 생존성 확보 등을 주문했다. 배터리 모니터링과 화재 감지 시스템을 강화하고 리튬이온 배터리용 소화설비 구축 또는 구축이 불가능할 경우엔 다른 대안을 마련하라고 요구했다. 또 배터리실 전력선 재배치, 화재 등 재난 발생 구역의 전력 개별 차단 방안을 수립하라고 지시했다.
카카오에 대해서는 서비스 다중화 및 재난대비 훈련 등을 실시하라고 요구했다. 이중화 운영·관리 도구를 현행 데이터센터 간 ‘동작(액티브)-대기(스탠바이)’에서 ‘동작-동작’ 수준으로 높이고, 카카오 서비스 핵심 기능인 메시지 수발신이나 인증 등에 대해선 더 높은 수준의 데이터 보완책을 마련하라고 주문했다.
네이버에도 장애 예방과 신속 복구를 위해 서비스별 복구 목표, 장애 시나리오별 복구 방안 등을 재점검해 개선방안을 마련하고, 주 데이터센터 전소 등의 상황을 가정해 모의 훈련을 실시하라고 요구했다.
이종호 과기정통부 장관은 “각 사업자별 개선방안, 점검결과, 제도개선 등을 종합해 디지털 시대에 맞는 안정성 강화방안을 마련하고, 끊김없는 디지털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확고한 디지털 위기관리 체계를 구축해나가겠다”고 말했다.
[CEO스코어데일리 / 김동일 기자 / same91@ceoscore.co.kr]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