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배터리, 핵심광물 확보하라”… 다급해진 산업계, 자원확보 사할

시간 입력 2022-09-23 17:38:20 시간 수정 2022-09-23 17:38:20
  • 페이스북
  • 트위치
  • 카카오
  • 링크복사

산자부, 한-캐나다·호주 핵심광물·배터리 기업간 협력 추진
美 IRA법에 자원 확보 사할…여전히 공급의 80%는 중국산
SK-잠비아 민관협력…“제련·가공, 기업 맞춤형 협력하도록 해야”

22일(현지시간) 캐나다 토론토 CIBC 스퀘어에서 열린 ‘한국-캐나다 간 핵심 광물 협력 업무협약(MOU) 체결식’에서 이창양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참석해 축사를 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미국의 IRA법(인플레이션 감축법) 등으로 반도체와 배터리에 필요한 핵심광물(리튬·니켈·코발트·희토류) 확보 필요성이 커지자, 정부가 캐나다·호주 등 영미권 국가들과의 협력을 강화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3일 캐나다 토론토에서 한-캐나다 기업간 핵심광물 공급망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MOU에는 LG에너지솔루션과 아발론·엘렉트라·스노우레이크 등 캐나다 기업 3사가 핵심광물 공급과 가공분야에 협력하기로 했으며, 한국광해공업공단과 캐나다 천연자원부가 핵심광물 정보교류, 광해방지 기술개발을 추진키로 했다.

여기에 산자부는 내달 12일 호주와 서울에서 핵심광물 공급망에 관한 협력방안도 논의할 방침이다. 여기에는 희토류·리튬 등 핵심광물 생산 및 가공 기업들인 라이너스·리오틴토·오스트레일리안마인즈 등 10여개 호주 기업과 LG에너지솔루션·삼성SDI·SK온 등 한국 배터리 3사 등 한-호주 핵심광물·배터리 관련 기업들이 대거 참여할 전망이다.

산자부의 이같은 움직임은 미국의 IRA(인플레이션감축)법 시행으로, 반도체, 배터리 산업의 주요 소재인 핵심광물 확보가 시급해졌기 때문이다. IRA법은 북미권 국가 또는 미국 FTA(자유무역협정) 체결국의 광물 사용비율을 2023년 40%, 2024년 50%, 2027년 80%로 늘릴 것을 요구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정부는 캐나다·호주 등 영미권 국가와의 협력을 늘려 핵심광물 공급망 다양화와 공급선 확대를 추진하겠다는 계획이다. 특히 리튬·니켈·코발트 매장량 세계 2위, 희토류 6위인 호주와 리튬 매장량 7위인 캐나다와의 협력은 공급선 확대를 통한 원자재 수급 안정화 뿐만 아닌, 중국과의 의존도 줄이기와도 맞닿아있다. 중국은 한국의 핵심광물 주요 수출국으로 한국무역협회 통계 기준, 중국산 핵심광물의 수입 비중이 80%에 달한다.

박철완 서정대학교 자동차학과 교수는 “자원민족주의가 점점 강화되는 상황에서 정부는 한국 기업이 자원 국가와의 접촉 지원과 자원 확보만이 아닌 원자재 제련 등 가공 기술에 대한 지원을 투트랙으로 병행해야한다”면서 “그러지 않은 상태에서 자원확보 위주의 정책은 제품 단가 상승에 따른 기업 경쟁력만 저하시킬 것”이라고 지적했다.

기업들도 배터리, 반도체 등 미래 신산업의 핵심광물 확보에 팔을 걷고 나섰다. 실제 지난 20일(현지시간) 최태원 SK그룹 회장은 미국 뉴욕에서 직접 하카인데 히칠레마 잠비아 대통령을 만나 배터리 핵임광물 민관협력 모델을 구축하기 위한 논의를 가졌다. 잠비아는 구리 등 아프리카 자원 부국 중 하나로, SK는 배터리 핵심소재 중 하나인 구리 동박 제조에 전문인 SK넥실리스를 관계사로 두고 있다.

박 교수는 “한국 기업은 활물질 기술에는 능하나, 자원·원료 제련·가공은 아직 부족하다. 지금까지 중국을 통해 공급받아온 아웃소싱 형태를 인하우스로 가고자 한다면, 이를 위한 준비가 먼저 필요하다”며 “SK 민관협력의 사례처럼 자원 확보가 제품 경쟁력과 함께 이어지도록 해, 향후 기업의 시장 경쟁력을 훼손시키지 않도록 해야한다”고 덧붙였다.

[CEO스코어데일리 / 현지용 기자 / hjy@ceoscore.co.kr]

댓글

[ 300자 이내 / 현재: 0자 ]

현재 총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